1. 서론
1.1 실험 목적
휘스톤브리지는 전압원, 저항, 검류계로 이루어진 회로로, 기지저항 R_k를 이용하여 미지저항 R_x를 알아내는 장치이다. 본 실험에서는 휘스톤브리지 회로를 활용하여 미지저항을 계산하고, 이를 실제 저항값, 저항의 색띠로 읽을 저항값과 비교해보도록 한다.
1.2 배경 이론
1.2.1 저항
어떤 회로소자의 양 극단에 걸린 전압은 흐르는 전류에 비례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V=IR이라는 식이 성립한다.
<중 략>
2.2 실험 결과
2.2.1 실험적으로 R_x구하기
2.1.1에서 언급했던대로,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간단한 수식관계를 통해 미지저항 R_x를 구할 수 있었다. 대체로 R_k=5kΩ을 유지하며 실험했지만, 몇몇 실험에서는 오차가 크게 생겨서 R_k값을 1kΩ,10kΩ으로 바꿔가며 실험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12개의 모든 실험에 대해서 검류계에 흐르는 전류를 0으로 만들지 못했는데 이는 KCL에 의해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오차의 원인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 Walker, J, Halliday, D and Resnick, R, Principles of Physics, 10th ed, Wiley, New York(2014)
· Richard C. Dorf, James A. Svoboda,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9th ed, WILEY, USA(2014)
· 서울대학교 물리학실험2 실험 2-5. 휘스톤브리지 실험(2017)
· 서울대학교 기초회로이론 및 실험 실험교재(201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