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널A], 2017-12-12, [밀착취재]“엄격히 금지 낙태, 한해 30만 건”
· 뉴시스, “男 대학생 절반 성경험 있지만… 성지식 수준은 '낙제'”, 2012. 05. 11
· 보건복지부, 2005,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보고서
· 고영복,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 국윤나, “피상적 성교육 … 대학생 성지식은 F학점”, 2015. 05. 18
· 김대유, 2016, “국가수준 학교성교육표준안의 쟁점과 논의”, 『한국보건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2
· 박지아, 2016, “2016년 양성평등교육 강사과정”, 『부산여성가족개발원』, 42-43
· 배성미, 2002. “청소년 성지식 성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합뉴스, <'점괘'로 강제 입양..美 여군돼 부모상봉>, 2006. 06. 05
· 이복숙·전영주, 2002, “미혼모의 생애사 연구”, 『여성연구집』, 16,1-32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대학생 성태도 실태조사”
· 황인명, 2009, 『중, 고, 대학생들의 성지식, 성적 자율성, 성태도 및 미혼모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생미혼모 실태조사 연구”
· 강명선, 2011, 『여성의 낙태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승섭, 「아픔이 길이 되려면」, 동아시아, 2017.
· 보건복지부, 2005,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보고서”
· 정진주, 2010,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페미니즘 연구》 10(1): 123-158.
· 한희선, 2003, 『대학생 미혼모의 임신과정과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사)푸른 아우성, “네덜란드와 한국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행동 비교”, 7
· EBS 뉴스, “<성교육 기획 13편> 금지' 아닌 '책임' 배우는 해외 성교육”, 2015. 08. 28
· Bhutta ZA, Black RE. 2013. “Global Maternal, Newborn, and Child Health – So Near and Yet So Fa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 Engl J Med) 369(23): 2226-2235.
· Grimes DA, Benson J, Singh S, Romero M, Ganatra B, Okonofua FE, et al. 2006. “Unsafe abortion: the preventable pandemic”. The Lancet 368(9550): 1908-1919.
· Stephenson P, Wagner M, Badea M, Serbanescu F. 1992. “Commentary: the public health consequences of restricted induced abortion – lessons from Romania”. Am J Public Health 82(10): 1328-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