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질병과 문화_북한의 보건복지와 의료시스템,
- 최초 등록일
- 2020.01.08
- 최종 저작일
- 2020.0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간호]질병과 문화_북한의 보건복지와 의료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2019년 북한의 보건의료분야 현황
2. 본론
(1) 북한 보건의료 체계와 변화
1) 북한 보건의료 체계의 기본 구성과 현실
2) 북한 보건의료 시스템의 변화 전망
(2) 체제 전환국 보건의료분야와 앞으로의 과제
1) 체제전환국 보건의료분야의 변화
2) 북한의 질병 변화 및 보건의료 협력의 과제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 2019년 북한의 보건의료분야 현황
북한 당국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의 도입, 시설과 장비의 현대화 등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물자부족으로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유엔의 안보리 결의안이 북한 경제 일반을 겨냥하여 포괄적 제재로 변한 2016년 이후 전반적인 경제의 침체와 함께 보건의료 분야의 개선도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단일 국영의료체제 방식인 북한 의료 시스템의 특성상 국가의 자원 동원 능력 한계는 실질적인 의료서비스의 질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장을 통한 의약품 유통에는 한계가 있어 북한 주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서는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며 일회적인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인 전망에서 남북 보건의료협정 등에 기초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북한 보건의료 체계와 김정은 집권기 내 변화, 그리고 체제 전환국의 보건의료분야와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2. 본론
(1) 북한 보건의료 체계와 변화
1) 북한 보건의료 체계의 기본 구성과 현실
북한은 전 인민에 대한 무상치료제, 의사담당구역제, 고려의학과 신의학 병행, 예방의학 강조, 대중의 보건사업 참여라는 기본 원칙하에 대부분의 재원을 정부 예산으로 조달하여 공공의료기관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탈북 의료인들에 대한 질적 조사 결과, 보편적인 의료서비스의 가장 일선 전달체계인 진료소와 담당 의사들은 의료기기를 갖추지 못한 채 의료 상담 수준의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2차 의료기관에 해당하는 시·군·구역 인민병원의 시설도 매우 낙후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기존 보건의료시스템의 구조는 유지하고 있지만 기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에도 설비, 의약품, 인프라 등이 북한 문제가 만연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고 자료
조흥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61호, 20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