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해부학A+_여성, 남성 생식기PPT

간호학과 해부학 발표PPT 자료입니다. 여성생식기의 기능,구조, 역할 및 월경주기 남성생식기의 기능,구조, 역할 각각의 질병을 다뤘습니다.
20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20.01.08 최종저작일 2020.01
20P 미리보기
해부학A+_여성, 남성 생식기PPT
  • 미리보기

    소개

    간호학과 해부학 발표PPT 자료입니다.
    여성생식기의 기능,구조, 역할 및 월경주기
    남성생식기의 기능,구조, 역할
    각각의 질병을 다뤘습니다.

    목차

    Ⅰ. 여성의 생식기
    1. 여성의 내부 생식기관
    2. 여성의 외부 생식기관
    3. 여성의 성주기
    4. 유방
    5. 여성생식기 질환

    Ⅱ. 남성의 생식기
    1. 남성의 내부 생식기관
    2. 남성의 외부 생식기관
    3. 남성생식기 질환

    본문내용

    [자궁 uterus]

    1) 위치
    곧창자 배 쪽에서 앞쪽의 방광으로 기울이듯 위치
    2)기능
    월경을 하게 함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 → 임신을 유지
    태아를 자라게 함
    분만시 태아를 밀어내는 역할

    [자궁의 구조]
    앞쪽의 요도와 뒤쪽의 곧창자 사이에 위치
    돌림근육(속층)과 세로근육(바깥층)으로 구성
    속 점막세포에 글리코겐 함유: 질 안을 산성으로 유지 → 외부 세균 침입 방어
    여성교접기 및 산도 역할

    [난소 ovary]
    1) 위치
    난관 뒤쪽에 위치, 자궁 양쪽의
    골반안 가쪽벽에 근접
    2) 기능
    난자의 성숙에 관여하는 생식샘
    난소 안의 난포는 약 28일 주기로 배란됨

    참고자료

    · 전공서적
    · [「새용어 사람해부학」,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현문사, 2015, 312~318p]
    · [「진료실에서 들려주는 전립선 이야기」, 어홍선 외 1인, 서련사, 2009, 22~94p]
    · [「전립선 바로알기」, 대한전립선학회, 일조각, 2006, 30~45p, 128~160p, 162~212p]
    · [「아틀라스 인체 해부학」, 김향이 외 10인, 의학교육, 2017, 409~415p]
    · [「NEW 해부생리학」, COLBERT 외 2인, 메디시언, 2015, 438~460P]
    · [「여성건강간호학Ⅰ」,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2012]
    · 여성기 이미지
    · [난소, http://www.fntoday.co.kr/news/photo/201809/170098_68516_3248.jpg]
    · [난소의구조, http://mblogthumb3.phinf.naver.net/20150124_162/cjh3434_14221041552434cutT_JPEG/021b1235.jpg?type=w420 ]
    · [자궁, http://mblogthumb1.phinf.naver.net/20161019_92/joohanbang_14768581600802VlR0_JPEG/2016-10-19_15-22-21.jpg?type=w800]
    · [자궁의 구조, http://mblogthumb3.phinf.naver.net/20150317_218/bareunclinic_1426570267433JS5nX_JPEG/%C0%DA%B1%C3_1.jpg?type=w2]
    · [여성바깥생식기,
    · https://www.google.com/url?sa=i&source=images&cd=&ved=2ahUKEwicuf6piv3kAhWQyosBHWdBDXkQjRx6BAgBEAQ&url=http%3A%2F%2Fm.blog.naver.com%2Fluck6010%2F220927808023&psig=AOvVaw0x5x1U2keRCFQy-ISPczIi&ust=1570088422905318]
    · [자궁속막주기, https://post-phinf.pstatic.net/MjAxNzA5MTVfMTgy/MDAxNTA1NDM3MDQ3MzEx.mCiRezqc8SAT76g-vmNtfZwSeGj-itch1aDTrXgBQ80g.6NNGJbMcC_fYGCQk21WTGDkEZ6f5eGRBiQc83-SbEtwg.JPEG/%EA%B7%B8%EB%A6%BC111.jpg?type=w1200]
    · [난소주기 http://mblogthumb1.phinf.naver.net/20161019_92/joohanbang_14768581600802VlR0_JPEG/2016-10-19_15-22-21.jpg?type=w800]
    · [유방, 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xODA1MzFfNDAg/MDAxNTI3NzQ5NTc5MTI3.dxT6o6eFQvm329CFZ315BxXFJWS_GA7fymYiqhzFF6Qg.k1R4c6lxtyegzUkr7yXQkyKftDUGRG5e5Y-LruFGgLcg.PNG.codnjswkdus/%EC%9C%A0%EB%B0%A9%EC%9C%84%EC%B9%98.png?type=w800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129C4E55D7EFEB27
    · http://www.hansarang7.com/upload/upload/se2_56821498d23c6.jpg]
    · [자궁근종, https://post-phinf.pstatic.net/MjAxODA3MDZfMjcy/MDAxNTMwODUxMjM5MjEy.Zv-IFCYaufe9YG_wrFK7V7_lUM1cNJOrPmnNIh5Q_28g.04FRqBBvSQPgD4rKsAQWWWiMlKUhqHS16xLgOv8gBUog.JPEG/%EC%9E%90%EA%B6%81%EA%B7%BC%EC%A2%85_%ED%8E%B8%EC%A7%91_171012.jpg?type=w1200]
    · [바르톨린샘염, https://encrypted-tbn0.gstatic.com/images?q=tbn:ANd9GcTGvgemTSEtjLtHlxgUZJv4v--p6lYJ3qG3VKF6SZnlpKr_1GJj]
    · 남성기 이미지
    · [두산백과(doopedia), “부고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3604&cid=40942&categoryId=32319]
    · [메드아트, “부고환”,
    ·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938565&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1983_000_1%2F20120525181530412_B5DEYNP6J.jpg%2Fbody_111_1.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mode=simple&cid=51006&categoryId=51006]
    · [네이버블로그, “정관·정삭”,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ppysung114&logNo=80172016379&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kr%2Furl%3Fsa%3Di%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images%26cd%3D%26ved%3D%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happysung114%252F80172016379%26psig%3DAOvVaw1ROJ_rV_3VnbjJEuJwBBrw%26ust%3D1570070085787981]
    · [두산백과(doopedia), “정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48807&cid=40942&categoryId=32314]
    · [두산백과(doopedia), "전립선, 음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3618&cid=40942&categoryId=32319
    ·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쿠퍼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73&cid=51006&categoryId=51006]
    · [네이버블로그, "음경”,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ppysung114&logNo=80172016379&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kr%2Furl%3Fsa%3Di%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images%26cd%3D%26ved%3D%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happysung114%252F80172016379%26psig%3DAOvVaw1ROJ_rV_3VnbjJEuJwBBrw%26ust%3D1570070085787981]
    · [네이버블로그 “음경”,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nel8270&logNo=120201863131&proxyReferer=http%3A%2F%2Fwww.google.com%2Furl%3Fsa%3Di%26rct%3Dj%26q%3D%26esrc%3Ds%26source%3Dimages%26cd%3D%26ved%3D2ahUKEwiZ0_Kxi_3kAhXBG6YKHWwQC40QjRx6BAgBEAQ%26url%3Dhttp%253A%252F%252Fm.blog.naver.com%252Fconel8270%252F120201863131%26psig%3DAOvVaw10ls8LsTGoGuZBFHVTz5Yz%26ust%3D157008897891658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