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고려시대 지방제도의 성립
3. 고려 지방제도의 실상- 행정조직과 운영
4. 고려 중, 후기 지방제도의 변동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지방제도 속에는 중앙권력과 지방세력, 지방세력과 민, 중앙권력과 민의 관계가 중첩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지방제도 연구는 전근대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관계들뿐만 아니라 그 관계들을 둘러싼 많은 문제들을 해명할 단서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제도가 어느 한 부분만을 고려해서는 이해될 수 없다는 것은 이것과 양면의 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같은 맥락에서 고려시대 지방제도 역시 일반적으로 5도 양계제, 경기제, 주현-속현제 등 매우 단편적으로 이해되는 것과는 달리 그 실상은 상당히 복잡하고 , 중층적인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만큼 지금까지 다른 어떤 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최근에는 군현제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려시대 지방제도를 전 시기에 걸쳐 일관된 맥락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지방제도가 이처럼 다층적인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이 글에서 고찰해 보려고 하는 것은 바로 중앙에서 지방으로 향하는 흐름이다. 곧, 중앙 권력이 지방을 어떻게 편제하고 지배하려고 했는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시대 지방제도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형성하고 있는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서 단순히 중앙과 지방의 역관계 속에서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논의를 중앙에서 지방이라는 흐름으로 한정시킨다 하더라도 그 접근이 이처럼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지방제도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참고 자료
이희권, 1986,〈고려군현제도와 지방통치정책〉《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김갑동, 1988,〈고려 태조대 군현의 내속관계 형성〉《한국학보》52.
박종기, 1988,〈고려 태조23년 군현개편에 관한 연구〉《한국사론》19.
윤경진, 1996,〈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역사와 현실》22.
구산우, 1998,〈고려 태조대 지방제도 개편 양상〉《부대사학》22.
변태섭, 1971,〈고려전기 외관제〉《고려정치제도사 연구》, 일조각.
하현강, 1975,〈지방세력과 중앙통제〉《한국사》5, 국사편찬위원회.
김갑동, 1986,〈고려초의 주에 대한 고찰〉《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90,__,《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 변동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윤경진, 2000,《고려 군현제의 구조와 운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구산우, 1994,〈고려 현종대 향촌지배체제 개편의 배경과 성격〉《한국중세사연구》1.
김갑동, 1996,〈고려 현종대 지방제도 개혁〉《한국학보》80.
변태섭, 1971,〈고려시대 경기의 통치제〉;〈고려전기 외관제〉;〈고려 양계의 지배조직〉《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하현강, 1977,〈후기 도제에의 전성과정〉《고려 지방제도의 연구》, 일조각.
장동익, 1983,〈고려후기 수령임명 실태〉《경북대 논문집》36.
이혜옥, 1985,〈고려시대 수령제도 연구〉《이대사원》21.
박종기, 1986,〈고려시대 군현체계와 계수관제〉《한국학논총》8.
______, 1990,《고려시대 부곡제 연구》, 서울대출판부.
______, 1992,〈고려시대 외관속관제 연구〉《진단학보》72.
홍연진, 1993,〈고려전기 도제의 성립과 성격〉《부대사학》17.
원창애, 1984,〈고려중후기 감무설치와 지방제도 변천〉《청계사학》1.
이인재, 1990,〈고려중후기 지방제 개혁과 감무〉《외대사학》3.
______, 1993,〈고려말 안찰사와 도관찰출척사〉《역사연구》2.
박종기, 1994,〈14세기 군현구조의 변동과 향촌사회〉《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