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매우 정리가 잘 되어 있는 대장균, 세포의 생장곡선 실험결과 보고서 입니다.
세포의 생장곡선, E.coli, Growth curve 의 4Phase, Beer Lambert law, 분광광도법/흡광도법, 전배양과본배양, 전배양을 하는 이유 및 E. coli 의 최적배양조건, 0.85% NaCl 사용이유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론 외에 실험결과와 오차의 원인까지 포함한 고찰 및 결론 또한 체계적으로 꼼꼼히 적혀있습니다.
A+를 쉽게 받을 수 있도록 매우 정리가 잘 되어 있는 대장균, 세포의 생장곡선 실험결과 보고서 입니다.
세포의 생장곡선, E.coli, Growth curve 의 4Phase, Beer Lambert law, 분광광도법/흡광도법, 전배양과본배양, 전배양을 하는 이유 및 E. coli 의 최적배양조건, 0.85% NaCl 사용이유에 대한 이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론 외에 실험결과와 오차의 원인까지 포함한 고찰 및 결론 또한 체계적으로 꼼꼼히 적혀있습니다.
목차
1. Abstract
2. Information
3. Materials and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6. Conclu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Abstract
16시간 동안 37℃ 전배양한 E. coli를 LB broth에 1시간마다 37℃에서 본배양했다. Beer-Lambert 법칙 기반의 흡광도법을 이용해 9시간동안 1시간을 주기로 OD600 에서 E. coli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growth curve를 얻었다. 평균흡광도 값은 0-9시간동안 차례로 0.0315,0.042,0.1855,0.626,1.068,1.346,1.45,1.608,1.788,2.112이며 흡광도 평균값의 증가폭이 0-1시간은 0.0105로 작았고, 1-4시간에는 0.1435,0.4405,0.442로 크게 증가했으며 4-8시간까지 0.278,0.104, 0.158,0.18로 적은 차이로 조금씩 증가했다. 9시간째에는 0.324로 비교적 크게 증가했으며 순서대로 0.0005,0.012,0.0085,0.013,0.008,0.01,0.006,0.016,0.072,0.12만큼의 표준오차가 발생했으며 8,9시간에서 가장 크게 나왔다. 흡광도에 log 값을 취하자 0-1시간에서 Lag phase로 추정되는 완만한 경사를, 1-3시간에서 Log phase 의 급경사를, 4-9시간에서 stationary phase가 시작되는 완만한 경사를 확인했다.
Information
세포의 생장곡선(cell gowth curve) : 이번 실험에서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E. coli의 시간별 생장곡선을 그린다. (Fig.1)처럼 여러 미생물이 비슷한 생장곡선을 보이는 만큼 E. coli또한 비슷한 생장곡선을 그릴 것이다. 생장곡선은 미생물의 생장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그래프로 표시한 곡선이며 지체기,대수기,정체기,사멸기가 나타난다.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성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Log값으로 표시한다.
참고자료
· JAMES G. et al.,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6th, PEARSON p.215-218, 134-135
· Michael T. et al., Brock의 미생물학 11th, PEARSON 402-403
· Dean R. et al., 생화학 개념과 응용(2017), 라이프사이언스, p204,205
· 이진성 et al., 미생물의 배양배지의 이해(2012), 바이오사이언스, p78-79, 83
· Joanne et al., 미생물학(2016), 라이프사이언스, p 51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