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2020년 최신자료) 사회심리학 미투운동, 미디어 속 군중심리 이대로 괜찮을까
- 최초 등록일
- 2019.12.28
- 최종 저작일
- 2019.1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A+ 2020년 최신자료) 사회심리학 미투운동, 미디어 속 군중심리 이대로 괜찮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8년 대한민국에서는 ‘미투운동’으로 한해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과연 한국 여성들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미투운동’이란 2017년 10월 미국에서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폭력 및 성희롱 행위를 비난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끌게 된 해시태그(#MeToo)를 다는 행동에서 시작된 운동으로 피해받은 여성 즉, 자신의 성추행 혹은 성폭행으로 피해받은 일들로부터 흔히 권력의 힘을 가지고 있던 남성들에게 성적으로 피해받았던 그 당시에 상황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나도 그렇다’라는 뜻의 'Me Too'에 해시태그를 달아(#MeToo) 당당하게 표현 못 하고 어떠한 오랫동안 억눌러온 자신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정화하는 치유 활동이다.
‘미투운동’은 군중심리를 통해 일어난 활동임이 분명하다. 용기 있는 한 명의 시작으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군중을 움직이는 운동이 되었다. 이처럼 군중심리가 끼친 미디어 속 현상인 인터넷 속 ‘마녀사냥’에서도 군중심리의 선행조건인 ‘익명성’이라는 보호막 안에서......<중 략>
참고 자료
나은영, 차유리. (2012). 인터넷 집단극화를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1), 103-121.
이호규. (2010). 주체형성 장치로서의 가상공간과 커뮤니케이션 모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7(2), 173-213.
김광재. (2018). 선거운동기간 중 인터넷 실명제의 헌법적 고찰. 법학논총, 41, 53-85.
연윤정, 2018.02.26, "한국에선 왜 이제야 본격화 됬나?", BBC뉴스코리아, 1면
귀스타브 르 봉(심리학자) 저, 2014,「군중 심리학」,17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