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내 패권 장악의 중심 영토분쟁- 댜오위다오(센카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국문 초록
II. 서론
III. 본론
IV. 결론
본문내용
본 논문은 중국, 대만, 일본 간의 영토 분쟁인 댜오위다오 분쟁을 기준으로 아시아 내 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아우르는, 현재 진행 중인 타 영토 분쟁의 분쟁 당사국 양국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댜오위다오 분쟁을 기점으로 러시아 일본의 쿠릴열도 분쟁과 한국 일본의 독도 분쟁 등 각 분쟁 국가들의 이해관계를 규명하고, 각 분쟁들의 실상과 상관관계를 다룰 것이며, 한국이 아시아 소속 국가로서 관심을 가져야할 타당성과 그에 대한 근거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민족주의’라는 이름 아래에 동아시아는 모두 하나로 단결한다. 하지만 그 단결이 너무도 과하여 때로는 주체하지 못하여 동아시아는 화합하지 못하고, 경쟁과 갈등구조를 형성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한국 · 일본 · 중국의 삼국은 다양한 영토 분쟁과 역사 분쟁에 맞물려 외교상 냉랭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굉장히 감정적으로 대응한다. 물론, 너무나도 당연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독도에 대해 지극히도 주관적인 경향이 없지 않아 있다. 일본 국내의 국수주의적 극우파 세력은 ‘독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감정을 계속 자극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러한 자극에 너무도 쉽게 감정적으로 휘말리고 만다. 나는 이런 극진한 주관적인 태도가 우리나라에게 독이 된다면 모를까 득이 된다고만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가 개입된 문제인 만큼 더욱 더 객관적인 판단력을 지니고 고찰해 봐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과 일본의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분쟁을 비롯한 타 분쟁들에 관심을 가져 제 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며 독도 분쟁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봐야 함은 물론이고, 두 분쟁을 연계하여 인식하고 통찰해 봤으면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의도임을 밝히는 바이다.
참고 자료
최태강, 『러시아와 동북아』, 오름,2004.
진창수,『동북아 영토분쟁과 일본의 외교정책』,세종연구소, 2008.
유철종,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영토분쟁』 (삼우사, 2006).
장정, 『중일간 조어도(釣漁島)에 관한 영유권 분쟁과 해결방안 The Dispute over Possession of Diaoyudao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Way of Settlement』, (2013), 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최한솔, 『영토분쟁 당사국의 분쟁해결 수단 선택 요인 분석』, (2014), 학위 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지원, 『중일 간 영토분쟁 격화원인 연구 : A.F.K. Organiski의 세력전 이론을 바탕으로 중 일간 영토분쟁 심화요인 분석』, (2015), 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이인순, 『동북아이사 민족주의와 자원 분쟁』, (2013), 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최장근, 『일본의 영토분쟁과 독도의 지위에 관한 고찰- 영토분쟁의 입제척인 고찰을 통한 독 도문제의 현안과 전망』, (2005), [독도연구, Vol.-NO.1,]
김선화, 『중ㆍ일간 조어도의 영유권 분쟁에 대한 고찰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Diaoyu/Senkaku Isalands)』, (2007), [해사법연구, Vol.19 No.2.]
서유미, 『일본의 영토분쟁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연구 : 센카쿠 분쟁과 독도 분쟁을 중심으로』 (2012), 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명찬, 『중ㆍ일 간 센카쿠제도 분쟁과 일본의 대응 (The Senkaku Islands Dispute between Japan and China and Japan’s Responses.)』 (2012), [영토해양연구 Vol.- N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