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은 UV 분광광도계를 사용법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해 염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Lambert-Beer법칙을 이용하여 흡광도로부터 용액의 농도를 알 수 있다. 염료의 흡착 변화를 시간 별로 측정한 후 Pseudo 1st order reaction과 Pseudo 2nd order reaction의 반응 속도 상수 k를 구할 수 있다.
2. 바탕 이론
1) 흡광도
일정한 파장을 갖는 빛이 용액을 통과하고 나서 통과한 용액에 흡수된 빛의 양을 말한다. 시료에 입사하는 빛의 세기를 , 통과한 빛의 세기를 로 할 때, 흡광도 로 정의되는 양이다.
2) Lambert-Beer 법칙
① Lambert 법칙
단색광이 이정한 두께의 용액을 통과할 경우, 입사광의 강도 와 투과광의 강도 는 용액에 따라 일정하고, 흡수된 빛의 양은 물질 층의 두께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② Beer 법칙
흡광도는 흡수 화학종의 농도 에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Beer 법칙은 묽은 용액을 통과하는 단색광에서 잘 적용된다. 다시 말해 높은 농도에서는 상호작용에 의해 흡광계수를 변화시킨다.
즉, Lambert법칙과 Beer법칙을 합친 것이 Lambert-Beer법칙이다. 빛이 용액을 통과할 때 투과율, 통과하는 거리 사이에 성립하는 법칙을 말한다.
가 된다. 여기서 는 몰 흡광계수를 뜻한다. 몰 흡광계수는 1cm 흡수층에 대해 구한 흡광도의 수치를 뜻한다. 흡광도 A는 단위가 없기 때문에 흡광계수는 와 의 단위를 없애는 단위여야 한다. 는 빛이 통과하는 시료의 길이므로 단위는 cm이고, 시료의 농도 의 단위는 이므로 몰 흡광계수 의 단위는 이 된다.
는 입사광의 강도, 는 투과광의 강도이다.
※흡광계수의 경우 이 식에서 b와 c는 알 수 있고, 흡광도는 측정을 하여 알 수 있으므로 ()로 구하면 흡광계수 를 알 수 있다.
참고자료
· 유은순, 차상원, 최재성, 2015, “최신 분석화학”, 북스힐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iziziwhdk&logNo=60092392802
·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교재
· http://www.sigmaaldrich.com
· 람베르트-비어법칙 [Lambert-Beer’s law, ~法則]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 https://ko.wikipedia.org/wiki/%EC%97%BC%EB%A3%8C
· 국립 식량 과학원
· https://www.nics.go.kr/contents/page.do?m=700000777&homepageSeCode=crop_info&contentsId=31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