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장로회의 기원과 교회의 조직
Chapter 2 칼빈과 낙스의 교회관
Chapter 3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의 필요성
Chapter 4 스코틀란드에서의 종교개혁과 존 낙스
Chapter 5 스코틀랜드 장로교의 종교개혁의 원리
Chapter 7 잉글랜드 장로교회 운동과 카트라이트
Chapter 8 17세기 스콜틀랜드 언약도 운동
Chapter 9 웨스트민스터 종교회의에서 스코틀랜드 대표단의 역할
Chapter 10 17세기 스코틀랜드 교회생활
...........
본문내용
한국의 개신교 가운데 장로교가 차지하는 비율이 70%를 상회하는 것은 하나님의 큰 축복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의 저자가 지적한대로, 장로제가 가장 성경적이라는 전제하에서 볼 때, 이 모든 현실이 자연스러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표면적인 현상과는 차이를 드러내 보이는 모습이 이면에 숨겨져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견지에서 한국의 장로교회가 본연의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는지 몇 가지로 분류하여 점검해 보고, 만일 문제가 있다면, 해결의 대안을 모색코자 한다.
첫째로, 한국의 장로교가 ‘성경성’과 ‘역사성’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는지를 짚어보아야 한다. 장로교의 ‘성경성’은 장로교의 근간인 장로 제도가 성경에 근거를 두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장로 제도의 ‘성경성’을 절대적인 진리로 간주한다.
둘째로, 한국의 장로교가 청교도 전통을 비롯한 신학적 영향들을 명확하게 여과하고 있는지도 점검해 보아야 한다. 우리는 모든 청교도가 장로교도가 아니었음을 주지하고 있음이다.
셋째로, 장로교의 기본 정신인 ‘개혁’, ‘변화’, ‘혁신’의 정신이 올바르게 자리 매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