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밀양(密陽)
2. 연출 및 기술 분석
3. 기독교적 내용 분석
4. 감독의 세계관 분석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밀양(密陽)
2007년에 개봉한 전도연,송강호 주연의 영화이다. 영화의 표면적,전체적 흐름의 양상은당시 ‘밀양(密陽)’의 모티브가 되었던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에 기반하여 따라간다. 작중 언급되는 송강호의 대사에서 선거와 관련된 정치적인 이슈가 살짝 언급되는데,이를 바탕으로 당시 열세였던 야당의 후보가 여당의 지역구에서 당선된 몇 안되는 지역 중 한곳이었던 ‘밀양’을 영화의 배경 도시로 삼은 것은 이창동 감독의 내재적인 의도였음을 조심스럽게 추측해봤다. 밀양(密陽)의 기본적인 장르는 한마디로 정의해야만 한다면 ‘드라마’라고표현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기독교적 딜레마,즉 ‘종교’라는 민감한 주제와 ‘유괴’라는 사건에 대해 다루는 만큼 결코 가벼운내용이 아닌 매우 심오하고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이창동 감독답게무척 암울하고 무거운 영화지만 배경에 대한 묘사와 주연배우들의 몰입감 넘치는 연기력으로 어느새 빠져들게 된다. 죽은 남편의 고향인 밀양에서 작은 피아노 학원을 개업하고 새 삶을 살아가려는 ‘신애’. 그녀에게 있어서 삶의 위안과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은 바로 어린 아들 ‘준’이었다. 밀양으로 향하던 중 고장난 신애의 차를 봐주고 그들을 밀양으로 안내해준 카센터 사장 ‘종찬’.
참고 자료
김희선, 「용서와 인간실존의 문제에 대한 두 태도」, 『문학과 종교』 제14권 제2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9년.
이창동 감독∙영화평론가 허문영 대담 – 유괴는 이 영화에서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고통이다, 『씨네21』, 2007. 5. 15.,
민순의, 「영화 《밀양》이 제시하는 인간학적 성찰」, 『종교와 문학』 제13호,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07년
사람에 대한 영화 「밀양」, 비밀스런 빛을 찾아서(2017), 권해석
이창동 영화의 타자성과 윤리적 재현방식 연구(2015), 박우성
80년대를 관통하는 이창동의 소설들(2006), 정명화, 오마이뉴스
이창동 작가론-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2917), 박유희
상처입은 세계, 시적 용서: 이창동 영화 『밀양』과『시』에서의 “용서”에 관하여(2015), 김창환
비극적 세계와 질서에 맞서는 ‘존재’의 윤리성 : 영화 〈마더〉, 〈밀양〉, 〈시〉에 나타나는 주체의 성격을 중심으로 , 김정현
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내용과 서술 형식 비교 연구 : 소설「벌레이야기」와 영화『밀양』을 중심으로, 나병철
이청준 소설의 매체 수사학적 특성 연구 - 이청준 「벌레이야기」, 영화 , 드라마 를 중심으로,김창환
핸드헬드와 스테디캠을 이용한 롱테이크 촬영 기법 연구 : 영화 ‘밀양’과 ‘살인의 추억’을 중심으로 , 박상익
상처입은 세계, 시적 용서: 이창동 영화 『밀양』과『시』에서의 '용서'에 관하여,김창환
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 사이 , 김석회
이야기의 매체 전이와 서사적 변용 연구 : 소설 에서 영화 까지 , 육상효
매체 변용화 과정에 따른 극적 서사 구조 연구 : -소설에서 영화으로, 이재명
소설과 영화의 스토리델링 연구 - 소설 와 영화 을 중심으로,김효정 서동훈
이창동의 영화 에 대한 분석적 논평,이병욱 한빛마음연구소
소설 「벌레 이야기」에서 영화 으로,송태현 세계문학비교연구vol25
역사와 영화 : '밀양': 벌레와 비밀스런 태양빛 사이에서,김재현 서양서연구vol37
소설 〈벌레이야기〉와 영화 〈밀양〉의 구조 비교,마희정
사실주의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의 특성 : 영화 〈밀양〉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손보욱
영화 〈밀양〉과 소설 『벌레 이야기』의 서사 전략에 대한 비교 연구 , 서정남
영화(3) 이창동 감독의『밀양』 ‘햇볕’속 보이는 것과 느껴지는 것,이혜선
이창동의 <밀양> ① 비밀의 빛, 밀양으로 가는 길,씨네21, 허문영
이창동의 <밀양> ② 이창동 감독, 씨네21, 영화평론가 허문영 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