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맞춤아기 관련 기술
1) 유전자 가위 기술
2) 유전자 가위기술의 원리
3) 유전자 가위 교정방법 (저장 → 인식 → 절단 → 교정)
3. 맞춤아기 연구 해외사례
1) 중국
2) 스웨덴
3) 영국
4) 미국
5) 일본
4. 맞춤아기찬성 (유전자 교정기술 찬성)
1) 태어난 아기의 삶을 존중
2) 사후 치료비용보다 사전 치료비용이 적음
3) 난치병 치료 목적에 유전작교정기술은 필요함
5. 맞춤아기반대(유전자 교정기술 반대)
1) 안전성 이슈가 존재
2) 불평등한 사회 초래
3) 유전적 연대성 훼손
4) 생태계 교란 및 유전적 다양성 훼손
6. 참고자료
본문내용
1.맞춤아기란?
맞춤아기란 희귀 혈액질환이나 암 등을 앓고 있는 자녀를 치료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기술을 통해 질환 자녀의 세포조직과 완전히 일치하는 특정배아를가려내 이 가운데 질병 유전자가 없는 정상적인 배아를 골라 탄생시킨 아기를 일컫는다.올더스헉슬리가 1932년 내놓은 소설 '멋진 신세계'에는 '맞춤 아기'가 등장한다. 여기서 국가의 통제 아래 모든 아기는 다섯 계급으로 나뉘어 모든 운명이 정해진 채 태어난다. 그리고 미국 드라마 ''마이 시스터즈 키퍼''는 아픈 언니의 치료를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동생이 자기 몸의 권리를 찾기 위해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사건 속에 담긴 놀라운 진실을 통해 삶과 죽음,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되는 한 가족드라마도 있다. 이 드라마는 국내에서는 ''쌍둥이별'이란 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소설 속 '맞춤 아기'는 현실에서 더는 먼 이야기가 아니다.
생물체에서 유전체 내 특정 유전정보를 마음대로 교정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이른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 덕분이다. 실제로 맞춤아기가 처음 탄생한 것은 지난 2000년 8월 29일이다. 미국에서 한 아기가 판코니 빈혈이라는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여섯 살짜리 여아에게 조직이 일치하는 골수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을 통해 태어났다.환자였던 여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조직과 일치하는 골수를 가진 아기를 낳기 위해 자신의 난자 12개를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다음 여기서 얻은 10개의 배아 가운데 유전자 검사에서 목적에 맞는 하나를 골라 임신한 뒤 ‘아담’이라는 이름의 남자 아기를 낳았다.맞춤아기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킬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윤리적인 이슈가 있어 향후 이 기술의 발전을 위해선 여러가지 난관을 해결해야 한다.
참고자료
· 맞춤아기 소재 영화, 뜨거운 논란 예상/신진아/2009.08.05
· 과학계 금기 깬 '맞춤형 아기' 탄생!/한승은/2019.06.04
· 바이오줌인 올해 최고 유망기술 ‘유전자가위’ 기술 경쟁 가속도/전효점/2018.02.27
· 스웨덴서 인간배아 유전자 편집 실험… 과학계 “금단의 영역 건드리나” 논란/송준섭/2016.09.27
· 중국 '맞춤형 아기' 실험 논란/서유진/2015.04.24
· 人間 유전자 편집, 어디까지…/김기철/2016.02.03
· 맞춤아기 시대가 도래한다면…/이강봉/2017.01.09
· 생물학적 부모가 셋인 아기 첫 출생… 논란 격화 /하종훈/2016.09.2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