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bstract
[Co(en)3]Cl3을 합성하여 UV-vis 스펙트럼과 Circular dichroism 스펙트럼을 찍고(+)tartaric acid를 이용하여 [Co(en)3]Cl3 라세미화합물로부터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합성하고 각각의 용해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해 광학 이성질체를 분리 시키는 실험을 하였다.
2. Introduction
<Properties of Stereoisomers>
Enantiomer (거울상이성질체)는 구조는 똑같으며 공간에서 치환기의 위치가 대칭 으로 존재하므로 고유 광회전도 ([α]D)를 제외하고는 모든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이 똑같다. 따라서 거울상이성질체는 산-염기 반응 등에 대한 화학 반응성이 똑같 으며, 물리적 성질도 똑같으므로 증류,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일반적인 분리 방법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Diastereomer (부분입체이성질체)는 공간에서 치환기의 위치가 다르게 존재하므로 서로 다른 화합물이며,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도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화학 반응성이 서로 다르며, 물리적 성질이 다르므로 증류,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일반적인 분리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다.
<Optical activity (광학 활성) - Chirality (카이랄성) 측정>
Enantiomer (거울상이성질체)는 구조는 같으면서 공간에서 치환기의 위치가 대칭 으로 존재하므로 편광면을 회전시키는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거울상이성질체는 광학 활성 (optically active)을 갖는다고 말한다.
A. Plane-polarized light (평면 편광) 일반적인 빛은 무한 방향으로 직진하지만, 빛을 방해석과 같은 광물질이나 폴라로 이드 필름에 통과시키면 특정한 한 방향으로만 직진하게 된다. 이처럼 한쪽 방향 으로만 직진하는 빛을 평면 편광 (plane-polarized light, 편광)이라고 한다.
참고자료
· Wikipedia
· Gahan, L. R.; Healy, P. C.; Patch, G. J. J. Chem. Ed. 1989, 66, 445-446
· Krause, R. A.; Megargle, E. A. J. Chem. Ed. 1976, 53, 667
· Huheey; Keiter. “무기화학” 번역판 4th, 자유 아카데미, 1997, 489-495, 545-550
· S. G. Telfer and J. D. Wuest, Chem. Commun., 2007, 3166–3168
· H. L. Anderson, Inorg. Chem., 1994, 33, 972–981
· Yin and R. L. Elsenbaumer, Inorg. Chem., 2007, 46, 6891–690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