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명 : 급성 모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1) 필요성 및 목적
급성 모세기관지염은 급성세기관지염이라고도 한다. 모세기관지염은 폐로 들어가 잘게 갈라진 기관지로, 맨 끝부분에 허파꽈리라고 하는 폐포가 붙어 있는데, 이곳에 염증이 생겨 일어나는 질환이다. 감기보다 심하며, 주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가 모세기관지에 염증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겨울에서 봄 사이의 환절기에 잘 발생한다. 2세 이전의 유아 중 특히 6개월 미만의 유아에게서 흔하며, 유아의 모세기관지는 너비가 좁기 때문에 조금만 붓거나 분비물이 들어와도 쉽게 막혀 금세 숨이 차게 된다.
(2) 문헌고찰
① 원인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가 50-75% 에서 원인이 되고 있다. 그 밖의 원인으로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독감 바이러스로 잘 알려져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이 있다. RSV는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며 1-2월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반면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가을에 주로 유행한다. 2세 미만의 영유아가 걸리게 되는데 특히 6개월 이하의 영아들에게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RSV와 같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은 호흡기의 분비물에 존재하며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 직접 다른 사람들의 호흡기로 전파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분비물 입자들이 손에 묻게 되면 바이러스는 수 시간 동안 생존하면서 그 사이 접촉하는 소아들의 눈, 코, 입을 통해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집에 영유아가 있는 경우 외출에서 돌아오면 반드시 손을 씻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