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통경로의 발달과정
2. 유통경로의 기능
3. 유통경로의 설계
4. “Push" vs "Pull" 전략
5. 판매관리
본문내용
코스목표
유통전략 및 판매관리에서는 유통 경로의 발달과정과 유통 경로의 기능,
유통 경로의 설계를 학습하고, "Pull" vs "Push" 전략과 판매 관리에 대해 학습하겠습니다.
학습내용 - 유통경로의 발달과정
- 유통경로의 기능
- 유통경로의 설계
- “Push" vs "Pull" 전략
- 판매관리
4. 유통전략 및 판매관리
4.1 유통경로의 발달과정
1) 유통경로의 정의
제품이나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과정에 관련된 독립적인 조직들의 집합 [중간상, 대리상, 도매상, 소매상, 거간, 판매 대리점, …]
■ 백화점 출현 이전
① shopping cost가 비싸다(가게들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 시간 & 비용면)
② 상점의 quality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정보 비용이 높다 (info. costs)
▶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효용 또는 금전적인 손실
■ 백화점
여러 가지 종류의 상품을 한군데로 모아 놓았으므로 shopping 비용이
내려간다
백화점이 일정한 상품의 質을 유지한다 (가게의 quality)
: 품질의 불확실성에서 기인하는 정보 비용을 낮출 수 있다.
▶ 비교적 양질의 제품을 싼 shopping 비용을 들여서 살 수 있으므로 고객의
수요가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
▶ 비경제적이다(overhead ↑)
▶ economies of scale을 활용할 수 없다
백화점이 출현하게 된 요인
1. ① 소득이 증가 → 집에서 만드는 물건이 적어진다 → 필요로 하는 물건의 거의 전부를 밖에서 사게 되므로 search cost와 info. cost가 올라가게 됨.
② 소득의 증가 → 시간의 기회비용이 증가 → shopping cost ↑
2. 품목마다 거래량이 많아지므로 → 여러 품목을 취급하는 데서 오는 不經濟가 줄어듬 → 또한 한 두가지 상품만을 취급하는데서 비롯되는 위험이 줄어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