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각과 유전자
- 최초 등록일
- 2019.11.09
- 최종 저작일
- 2018.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각과 유전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nroduction
2. Methods and Materials
3. Results
4. Discussion
5. Conclusion
6. Reference
본문내용
1. Inroduction
혀(Tongue)의 표면에는 유두(nipple)라는 수많은 돌기가 있고, 유두의 옆구리에는 미뢰(Taste buds)가 있으며, 미뢰 속에 미세포가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각기의 자극원 으로는 액체상태의 화학물질이다. 또한 기본 맛으로는 단맛, 신맛, 쓴맛, 짠맛의 4가지가 있으며, 이들 맛을 예민하게 느끼는 혀의 부위는 각각 다르다는 이론으로 배웠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이론이 아니라고 보며 3가지 이론을 제시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미세포의 신경 하나가 대뇌까지 연결하는 이론이다. 다음으로 미세포마다 수용하는 맛이 각기 다른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첫 번째와 대체로 비슷하지만 차이점으로는 미세포 자체에서는 느끼지만 대뇌에서 인지를 하지 못한다는 것이 첫 번째와 다른 이론이다.
< 그림 중략 >
5가지 맛(단맛, 신맛, 짠맛, 감칠맛, 쓴맛) 중 단맛은 각종 당분자가 G-단백 수용체군(G protein-coupled receptors)에 속하는 단맛 수용체에 결합할 때 시작되며, 당분자와 단맛 수용체간의 결합에 의해 수용체의 구조가 바뀌면서 세포 안에서의 일련의 신호전달(Signal transfer) 과정이 일어나게 되고 미뢰의 기저부에 접합하고 있는 구심성 미각 신경 섬유(Afferent nerve fiber)를 따라 뇌로 신호가 전달되어 단맛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우리 몸에 열량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함 감각으로 인지도가 개인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참고 자료
완자 생물1 (6-1 자극의 수용과 감각기관)
Cambell Biology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 7판 (29.2 감각수용기 세포는 자극에너지를 활동전 위 형태로 전환한다.)
미각장애와 TAS1R3 및 GNAT3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생명과학회지, 2011,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Cambell Biology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 7판 (29.11 마각과 후각수용기는 용액이나 공기 중에 있는 화학물질을 감지한다.
Cambell Biology 개념과 현상의 이해 제 7판 (29.12 민감한 입맛을 가진 사람은 미각이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