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 ) NGO 단체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내외 모두 가능함) 어떠한 장점과 단점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서술하고 앞으로 NGO단체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 서술
- 최초 등록일
- 2019.11.09
- 최종 저작일
- 2019.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국외 NGO
(2) 국내 NGO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NGO는 지역·국가·국제적으로 조직된 자발적인 비영리 시민단체로, '비정부성'이 강조된 정부기구 이외의 기구를 말한다. 'NGO'란 국제연합(UN)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용된 개념으로, 국가주권의 범위를 벗어나 사회적 연대와 공공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1946년에 설립된 각국의 비정부단체에서부터 출발한다. 국제기구와 관계를 맺고 협의하는 자발적인 비공식조직으로서, 공동의 이해를 가진 사람들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직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인도주의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정책을 감시하고, 정보 제공을 통해 시민의 정치 참여를 장려하며, 인권·환경·보건·성차별 등의 특정 부문을 중점적으로 추구하기도 한다. 대의민주주의의 시민사회를 대변하는 단체로서 특별한 이익을 보호하고, 시민의 참여를 조장하며 정부가 제공하지 못하는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적 조직이다. 국내외의 NGO 단체들을 알아보고 특히 국내 NGO단체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1) 국외 NGO
국외에 대표적인 NGO단체 중 ‘국경없는 의사회’와 ‘유엔난민기구’를 살펴보겠다.
-국경없는 의사회
국경없는의사회는 1971년 프랑스 의사들과 의학 전문 언론인들에 의해 설립된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이다. 인종·종교·계급·성별·정치적 성향에 관계없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생명을 살리는 의료를 지원한다. 설립 원칙은 의료 윤리·독립성·중립성·증언·책무성이다. 유럽, 아프리카, 중동, 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3만8000여 명이 국경없는의사회 활동 현장 및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국경없는 의사회 기금의 95%는 민간 기부를 통해 마련된다. 이러한 재정적 독립성이 있기에 국경없는 의사회는 어떤 정부나 기관에도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비상사태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NGO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유엔난민기구 - 인권, 인류애, 평화의 비전에 대한 세계적 각성을 촉구하다 (세계평화인물열전, 송영훈,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박선경, (行政問題論集, Vol.20 No.-, [2005]) “NGO성과에 관한 전문가들의 인식조사 : 법·정·행정 NGO를 중심으로”
안득기, (동서철학연구, Vol.0 No.40, [2006]) “NGO의 공익성과 윤리성에 관한 연구”
정시구, (韓國行政史學誌, Vol.0 No.21, [2007]) “우리나라 NGO활동 방향에 대하여”
정시구,김인수, (韓國行政史學誌, Vol.45 No.45, [2019]) “한국의 NGO 재정지원제도 변화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