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 기본실무(손위생,무균술,격리)
- 최초 등록일
- 2019.11.06
- 최종 저작일
- 2019.03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감염관리 기본실무(손위생,무균술,격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손위생
Ⅱ. 무균술
Ⅲ. 격리
본문내용
<손위생>
1. 손위생 목적
손위생 수행을 향상시켜 의료관련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2. 손위생 절차
1) 손위생 적응증
가) 손위생이 필요한 시점
① 환자 접촉 전 : 체위변경, 활력징후 측정(청진, 맥박, 혈압), 신체검진 등
② 청결/무균 처치 전 : 환자의 수술/시술, 처치 전, 투약 시, 점막 접촉, 피부통합성이 손상된 부위 처치, 폐쇄된 시스템을 유지해야 하는 의료기기의 개방(흉관 배액관, 인공호흡 등의 개방)
③ 체액/분비물 노출 위험 행위 후 :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접촉 행위, 사용한 의료기구나 임상 검체 접촉, 체액/배설물 처리, 폐기물 처리 후
➃ 환자 접촉 후 :체위변경, 활력징후 측정(청진, 맥박, 혈압), 신체검진 등
➄ 환자의 주변 물품 접촉 후 :시트교환 등 침상정리, 침상 주변 물품 청소, 수액 세트 및 모니터 기계 접촉 등
나) 물과 비누로 손위생 하는 경우
① 혈액, 체액 등 눈에 보이는 오염이 있을 경우
② 아포를 생성하는 미생물(예 : Clostridium속균과 Bacillus속균 등)에 의한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③ 화장실 이용 후
다) 눈에 보이는 오염이 없을 경우에는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이나,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용한 손위생을 시행한다.
라) 물과 비누로 손위생 하는 항목을 제외하고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미 사용한 경우에는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을 중복하여 시행할 필요는 없다.
마) 수술/시술 후에는 장갑을 제거한 다음 즉시(단, 즉시 시행이 어려운 경우에는 환자 인접주변을 떠난 즉시) 손위생을 실시한다.
바) 장갑 착용은 손위생을 대신 할 수 없다. 장갑 착용 전/후 손위생을 시행한다.
2) 올바른 손위생 수행 방법
가)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 방법
① 물로 손을 적신 후 적당한 양의 비누를 묻혀 양손의 손바닥, 손등, 손가락 사이, 손가 락, 엄지손가락, 손톱 밑 등 모든 손 표면을 15초 이상 문지르며, 전체 수행시간은 40-60초 정도 소요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