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법, 형사증거법 원론, 세정출판사, 2013, 351-389면
· 김희옥·박일환, 주석 형사소송법(Ⅲ), 한국사법행정학회, 2017, 413-431면
·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5판, 법문사, 2014, 803-806; 940-953면
· 신이철, 형사증거법 제5판, 유스티니아누스, 2004, 252-268면
· 민영성, 공범자의 자백과 보강증거에 관한 판례의 비판적 검토, 형사법연구 제15권, 한국형사법학회, 2001, 289-308면
· 이재학,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증언거부권 및 위증죄-변론분리 및 유죄판결이 확정된 공범인 공동피고인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58(3),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51-77면
· 권오걸, 증이적격과 위증죄-피고인·공동피고인을 중심으로-, 법학논고 제36집,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29-54면
· 권순민, 공범자의 법정 진술의 증거사용에 대한 검토-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43권 2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37-71면
· 하태인, 자백의 증명력 판단에 관한 실질적 기준의 정립, 형사법연구 제23권 제3호, 한국형사법학회, 2011, 231-260면
· 송진경, 공범의 진술의 증거능력과 증명력, 동아법학(65),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103-124면
· 김형준 외 2인, 형사절차에 있어서 허위진술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법학 7(1), 중앙법학회, 2005, 185-208면
· 한유화/안수연, 허위자백에 대한 인식과 위험요소에 대한 민감도, 사회과학연구 34(4),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1-27면
· 신이철, 공동피고인 진술의 증거법적(증거능력) 규제, 형사법연구 제21권 제2호, 한국형사법학회, 2009, 99-120면
· 이기수, 허위자백의 사례분석을 통해 본 형사절차상 문제점, 비교형사법연구 제14권 제1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2, 165-192면
· 김현수, 공동피고인 진술의 법률관계-중거법적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법학 2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503-534면
· 허일태, 한국에서 형사절차상 자백의 지위, 형사소송 아론과 실무 제6권 제2호,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4, 7-2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