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학 실습 조울증 A+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1) 문헌고찰
2) 정신간호과정
3) 간호과정 기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울증과 함께 뇌의 기분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인 양극성 장애는 기분이 들뜨고 신나는 상태인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는 상태인 ‘우을증’이 교대로 나타나면서 사소한 일에도 감정 변화가 심하다. 또한 자살률이 높을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내는 정신질환인 ‘조울증’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가 낮을 뿐 아니라 전문의들 조차 명백히 다른 질환인 우울증과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에서는 인구 100명당 3~5명이 조울병 관련 장애를 겪고 있는데 특히 원인과 증상, 진단기준에 대한 의료인들의 이해가 낮아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절반가량이 조울증일 가능성이 크며, 산후 우울증은 90%가 양극성 장애라는 연구 보고도 있다. 조울증은 우울증과의 혼동, 5년 내 재발률 95%, 자살률 15% 등을 감안 할 때 우리나라의 양극성 장애 실태는 매우 심각하며 의료인이 될 우리들이 조울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임상에서 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활동에 대해 연구하고 효과와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1. 문헌고찰
1) 정의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 알려진 질환으로 20세기에 들어와서 정신질환으로 이해되기 시작한 양극성 장애는 과거 조울 정신병 또는 조울증이라 불리며, 조증과 우울증이 주기적으로 교대로 나타나는 만성 재발성 질환이다.
참고 자료
양 수 외 공저, 『정신간호학』, 현문사, 2017, pp.257~275.
곽경필, 『양극성장애』, 50(4), 대한의사협회지, 2007, pp.348~356.
임숙빈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5
김광일,『[건강/정신과] 조울증』, 오토저널, 24(6), 2002, pp. 51-53.
이경희. (1999). 양극성장애 조증 및 울증환자와 간호사의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상호교류분석. 정신간호학회지, 8(1), 143-157.
윤도준. (1997). 항우울제와 관련된 조증.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6(3).
박태영, & 김선희. (2013). 양극성장애를 겪고 있는 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1, 147-176.
최영희. (1983).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지지행위와 환자역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이영, & 배성우. (2005).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가족과 문화, 17, 235-257.
최일섭, & 고기숙. (2007). 정신장애인의 서비스이용,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331-359.
강현숙 외, 『간호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이강이 회, 『건강사정』, 현문사, 2014
MEDIC MEDICA, 『왜, 무엇을 & 어떻게』, 의학서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