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한민국 사회의 학력주의 - 학력위조 사례를 통한 한국사회의 학력주의의 고찰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 제기
Ⅱ. 본 론
1. 학력위조의 사례
1) 우상으로서의 이미지 제고
2) 학력사회 속 자기방어본능의 작용
2. 연예인 학력위조 사례를 통해 본 한국사회에서의 학력주의
1) 한국사회의 학력주의
2) 학력주의 사회의 문제점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대한민국은 고전적인 학벌사회이다. 좋은 학력(學歷)은 사회적으로 칭송받는 지위에 오르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어왔으며, 사람들은 그 사람의 능력을 가진 학력에 따라서 평가하고는 한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학력주의에 따른 병폐가 심각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건이 바로 신정아 사건이다. 신정아 사건이란, 당시 ‘미술계의 신데렐라’로 불릴 정도로 저명한 인사이며 동국대 조교수였던 그녀가 학력을 위조한 사실이 밝혀지며 사회에 큰 파장을 가져왔던 사건이다. 이를 발단으로 이어진 각 분야 인사들의 학력위조에 대한 고발과 고백은 이 사회의 고질병인 학력주의의 문제가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잘 보여주었다.
그런데 최근 주목할 점은 이러한 학력주의가 학력이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직업군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요구되는 직업군에 속한 연예인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연예인들 여럿이 학력위조를 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김경호,「자아존중감, 체면민감성과 자기제시전략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김광수, 『스타를 만드는 사람들』, 서울: 문예마당, 2012
김상봉, 『학벌 사회』, 경기도 파주시: 한길사, 2014
알랭 드 보통, 『불안』, 정영목 역, 서울:은행나무, 2016
알슨 E.,『사회심리학』, 구자숙 외 8명 역, 개정 8판; 서울: 탐구당, 20017
이숙진, 「학력주의와 실력주의」, 『새가정』, 통권55권 597호, 2018년
임영식,「대중 스타에 대한 청소년의 우상화 현상과 심리사회적 적응」,『청소년학연구』, 통 한국청소년학회, 2016
이정규, 『한국사회의 학력 학벌주의』, 서울: 집문당, 2016.
정미량, 「‘신정아 사건’을 계기로 본 한국 학벌 구조의 폐해」,『사회와 역사』, 통권 86호, 한국사회사학회, 2010년
「배명고 담임교사“최수종 외대 합격사실”… 고학력 연예인들은?」, 『한경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