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일본, 조선 세 나라의 근대화와 그 결과
- 최초 등록일
- 2019.10.23
- 최종 저작일
- 2018.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중국, 일본, 조선 세 나라의 근대화와 그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1. 근대화와 전파
2.2. 삼국의 근대화
1) 중국의 근대화
2) 일본의 근대화
3) 조선의 근대화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조선, 중국, 일본.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접한 삼국은 오랜 시간, 화합과 경쟁을 통해 삼국 간의 균형을 이뤘었다. 각 국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중화질서체계를 통해 유교 사상, 관료제 등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자신만의 문화, 사상, 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며 삼국의 관계는 바뀌게 된다. 15세기 말에 시작된 대항해시대를 거쳐 서유럽은 타국의 식민지화를 통한 자국의 이익창출을 추구하였고, 18세기 말, 19세기에 동아시아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동아시아의 식민지화에 앞장선다. 이러한 서구의 진출, 즉 자본주의체계의 진출은 삼국의 관계를 기존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형태, 즉, 중국이 기존에 동아시아 일대에서 가졌던 지위를 일본이 대체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글은 삼국 간의 관계에서 일본이 중국의 지위를 대체할 수 있게 된 이유를 서구의 침탈에 있어 삼국의 대응 방식의 차이와 각 국에서 일어난 근대화 운동의 주도 세력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글은 우선 근대화가 무엇인지 그 정의를 명확히 한 후, 삼국에서 일어난 근대화의 전파와 근대화의 주도 세력을 중심으로 하여 마지막으로 삼국의 근대화를 비교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2. 동아시아 삼국의 근대화
2.1. 근대화의 정의
우선 본격적으로 삼국의 근대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 전, ‘근대화’란 아직 여러 곳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념으로, 논하는 이에 따라 관점과 가치 판단 등의 차이로 인해 다르게 정의되고 있어 단어의 의미에 대해 보다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근대화는 관점과 가치관 등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나, 본 글은 “인류문명사의 근대라는 시기를 여는 시점에 서부 유럽에서 시발한 광범위한 사회문화적 변동”이라는 정의를 택했다. 이 정의는 ‘근대 시기’라는 시대적 배경을 전제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논해지는 정의인 “봉건 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 이행”에 비해 통시적인 설명이 가능하고 ......<중 략>
참고 자료
김경동, 「동아시아 근대화와 자본주의 형성 및 전개」, 아시아 리뷰, 제5권, 제2호(통권 10호), 2016.
박영재,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역사적 측면-」, 아시아문화연구, 제2권, 1997.
“근대화”,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9507&cid=40942&categoryId=31611”
“중국의 근대화 운동의 전개”, 학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0399&cid=47323&categoryId=47323”
“신해혁명”, 학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0400&cid=47323&categoryId=47323&expCategoryId=47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