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개론 )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철학을 사례 (저상버스 ,마서즈비니어드섬 등) 를 인용하여 비교하시오,영화 나,다니엘 블레이크를 보고 영국의 복지국가의 현실을 평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10.22
- 최종 저작일
- 2019.10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4,75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철학을 사례(저상버스, 마서즈비니어드섬 등)를 인용하여 비교하시오.
2-2)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보고 영국의 복지국가의 현실을 평하시오.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국가, 혹은 지역 행정단위 차원에서 사회 구성원이 기본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 이것이 복지의 기본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복지의 개념이 생겨난 후 적지 않은 세월이 흐른 만큼 사회적 복지에는 여러 이론이 있으며, 그 이론에 해당하는 제도 혹은 서비스가 다를 것이다. 그렇다면 그 개념과 복지 개념에 해당하는 사례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수많은 복지 이론·철학 중에서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개념을 알아보고, 한국 사회에서 이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두 이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더불어 1601년, 엘리자베스 1세에 의해 ‘구빈법’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적인 복지국가의 개념을 최초로 선언한 영국의 복지법과 이를 직접 적용받는 대상인 빈곤층의 모습을 그려낸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영국 복지의 현실을 알아보았다.
2. 본론
2-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철학을 사례(저상버스, 마서즈비니어드섬 등)를 인용하여 비교하시오.
기본적으로 두 이론 모두 자유주의, 자본주의에 의해서 기초적 삶을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적 소외계층의 ‘보장받지 못한 삶의 수준’을 국가가 최소한의 선을 두고 지켜주어야 한다는 사회복지개념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으며, 윌렌스키(H. Wilensky)와 르보(C. Lebeaux)가 두 개념을 구분 짓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두 가지 이론은 어떤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일까.
먼저, 잔여주의는 시장경제나 가족이 노력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은 몫이 있는 경우, 이를 ‘사회적 복지제도’가 보완해주어야 한다는 견해에서 시작된다. 이름 그대로 본인의 노력이 반영된 이후의 남은 ‘잔여’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하자면, 사회기능의 정상적인 공급원으로서 가족이나 시장경제가 제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파생되는 문제를 사회복지가 이를 보완 내지는 해소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위키백과,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관련 개요 일부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행정학 용어 사전 중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비교 부분 발췌.
https://blog.naver.com/gmlakdskan11/220388106423 (네이버 블로그)
└‘사회복지 발달사’ 1편, ‘엘리자베스 구빈법, 최초의 성문화된 복지법 제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