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수질오염의 정의
수질 오염이란, 물이 천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 또는 세균학적 특성이 상호 연관된 자연적,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분화함으로써 물 이용상의 지장으로 초래하거나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여 수중 생물에 영향을 주는 상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좁게는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의하여 병원성미생물 또는 기생충 등이 인체에 질병을 유발하고, 공중 보건상위해를 일으키는 등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말한 다. 넓게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수중에 부패성 물질, 유독성 물질 및 부유물질 등 물 이외의 이 물질이 혼입 됨으로써 생활, 농업, 공업, 수산 등에 용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여 물의 자정능력이 상실되며 가정의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농.축산 폐수, 농약.비료 등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유기물이나 중금속.독성물질 등에 의해 일어난다.
2.수질오염의 현상
1) 부영양화
물 속에 유기물과 무기물이 증식하게 되는 것을 부영양화라고 한다. 유기물이 지나치게 많으면 호기성 세균이 갑자기 증식하여 산소가 고갈되고, 혐기성 세균에 의해 불완전한 분해가 일어나 유기물이 부패됨으로써 물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고, 결국 산소부족으로 수중생물들이 죽게 된다. 또한 질소나 인 등의 무기물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조류가 과다하게 증식하여 물 속의 산소가 고갈되어 물고기가 죽게 된다.
2) 적조현상
질소나 인산을 많이 함유한 생활하수나 비료성분이 유입되면 플랑크톤이 다량으로 번식하여 바다나 호수가 붉게 변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적조현상이라고 한다.
적조현상은 빛과 영양염류의 조건이 좋을 때 식물성 플랑크톤이 일시에 많이 번식하여 물의 색깔이 적색으로 변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하게 되거나, 플랑크톤 자체의 독성 또는 플랑크톤의 점액질이 물고기의 아가미를 덮어 어패류가 죽거나 수질 악화로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
참고자료
· https://blog.naver.com/ecogj/221321875850
· 박인혜 외.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현문사; 2016. P. 382 - 383
· http://www.me.go.kr/webdata/envbook_pdf/envbook.pdf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