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정보격차 해소사례 (도농을 중심)"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서론가. 정보격차란?
나. 정보격차 해소정책의 필요성
2. 정보화마을
가. 정보화마을이란?
1) 정보화마을 정책개요
나. 정보화마을의 성과와 한계
1) 정보화마을의 성과
가) 정보격차 해소
나) 지역경쟁력 강화
다) 인적 교류네트워크
2) 정보화마을의 한계
3) 한계 해소 대안
3. 결론
4. 참고문헌
가. 참고문헌
나. 기타자료
본문내용
지식정보사회에 들어 정보의 접근, 이용, 활용능력의 차이로 인한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는 정책으로서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예방하여야한다. 필자는 여러 정책 중 사회적 불평등을 겪는 지역을 대상으로 정책을 펼치는 `정보화마을`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효성과 한계에 대해 제시하려 한다.가. 정보격차란?
정보격차란 Digital 환경 하에서 정보에의 접근, 이용, 활용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 현상이다. 이 정보격차는 다차원적이며 다면적인 개념이며, 총 3가지 격차로 구성된다. 1차 정보격차는 정보기술의 인프라의 차이에서 발생하며 컴퓨터, 인터넷 등의 기술(technology) 같은 `접근에 차이`를 보이다가 최근에는 `정보기술의 사양에 대한 차이`로 해석된다. 2차 정보격차정보이용능력, 정보활용격차 중 정보이용능력 격차는 이용능력(skills) 차원의 격차이며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같은 `이용할 능력`이 있는가. 없는가에 차이를 나타낸다. 즉 기술이 있더라도 그 기술을 얼마나 잘 다룰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의 차이로 발생한다. 정보활용격차 (information literacy)는 정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차이로서 격차가 발생한다. 이 정보 활용은 양·질적인 복합적인 측면에서 측정가능하며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여부, 이용시간, 일상생활의 부문별 도움정도 등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나. 정보격차의 정도와 정책의 필요성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 정보에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18년도 기준 일반국민 대비 저소득층이 86.8%, 장애인이 74.6%, 농어민이 69.8%, 장노년층이 63.1%로 `17년 대비 저소득층(81.4%)5.4%, 장애인(70%)4.6%, 농어민(64.8%)5.0%, 장노년층(58.3%)4.8% 증가하였다.
참고 자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control_no=4697ba90a6086dfc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f1a8c7a1de0e08b8&fulltext_kind=a8cb3aaead67ab5b&t_gubun=&convertFlag=Y&naverYN=&outLink=&searchGubun=true&colName=bib_t&DDODFlag=&loginFlag=&url_type=&query=%EC%A0%95%EB%B3%B4%ED%99%94%EB%A7%88%EC%9D%84&nationalLibraryLocalBibno=#redirect 김승곤(2015), “정보화마을 활성화를 위한 사업 우선순위 분석”, 전북대학교 학사학위 논문(2019.03.30. 참고)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9da0b8f48a51a65c7ecd42904f0c5d65#redirect 이현정(2016), “정보화마을 사업의 성공요인이 실제 정보화마을 사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기도 세 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학술저널(2019.03.30. 참고)
이명수(2010) “정보화 마을 10주년 기념 정책토론회 : 회고와 새로운 도전“, 대한민국국회.(2019.03.30. 참고)
김영대 외 3명(2017) “장노년층 정보화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2019.04.05. 참고)
안전행정부 한국지역정보개발원(2014), “정보화마을 13년사“, pp. 23-31(2019.03.30. 참고)
안전행정부ㆍ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4) 정보화마을 통계자료집(2019.03.31. 참고)
OECD(2019), 한국 농업 혁신, 생산성 및 지속가능성 검토, OECD 국가별 농식품 검토보고서(2019.04.05. 참고)
http://www.invil.org
HOME > 정보화마을 소개, 인빌뉴스 (2019.03.30. 참고)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81623&bcIdx=20566&parentSeq=20566 한국정보화진흥원, HOME>지식정보>통계·실태조사>정보격차지수 실태조사(2019.03.30. 인용)
https://www.mois.go.kr/frt/sub/a06/b04/informationVillage/screen.do 안전행정부, HOME>업무안내>대민서비스 기반확충>정보화마을 운영 (2019.03.30. 참고)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48072 행정안전부, HOME>정책자료>간행물>정보화마을 특성별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2019.03.30. 참고)
https://www.libertykoreaparty.kr/web/policy/parliamentary/readParliamentaryView.do?bbsId=GDT_000000001016477 자유한국당 박순자의원실(2016), HOME > 정책 > 자료실 >국감자료실, “해제 건수만 늘어나는 정보화마을 사업” (2019.03.30. 참고)
http://www.etnews.com/20181126000342 박종진 기자 etnews(2018), “18년 역사 정보화마을 사라지나…실질 예산 전액 삭감“(2019.04.04.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