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너를 위해 준비했어 ~ NUR's CASE
여러분들의 실습에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는
중환자실간호사 최강케이스입니다.
본 자료는 A+케이스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핵심 자료와 필요 구성 내용을 꼭꼭 눌러 담았으니,
여러분의 실습에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선정이유
1-2 입원동기
2. 본론
2-1 문헌고찰
2-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선정이유
OO병원의 0병동은 00병동이다. 00병동이여서 그런지 입원환자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은 기흉이였다. 기흉은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흉통발생과 호흡곤란의 증상으로 대상자를 위협하는 질병으로 재발률이 50-60%에 달하는 질환이다. 특히 남자가 여자에 비해 발병률이 6배나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남자들에게 더욱 취약한 질환이다. 00병동의 환자비율에서 보여주듯이 기흉은 젊고 마른체격을 가진 남자에게서 발생하기 쉽고, 보편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질환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그만큼 주의해야할 질환 중 하나라는 생각을 하였다. 친구들 중 한명이 젊은 나이에 마른 체격을 지니고 있고, underline 없이 약간의 음주와 흡연(1갑/1일)을 하고 있는데, 기흉에 걸린 적이 있어서 고생했던 기억이 있다. 이때 경험한 기흉에 관심이 생겨 Case 질환을 기흉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나는 이번 00병동에서 실습을 하며 기흉에 대한 세부적 사항과 치료, 간호 중심으로 공부하여 빠른 회복을 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자 한다. 따라서 병동 환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과정과 퇴원 후 교육에 대해 설명하며 조금 더 빠르게 회복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방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만약 기흉이 되었을 때 어떤 관리와 간호를 해야 빠른 회복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공부해보기로 했다. 따라서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에 기인하여 기흉수술, 적절한 추후관리를 알아보고자 기흉을 케이스 사례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기흉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기흉의 증상과 원인, 그에 대한 치료와 간호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진단과 중재를 내려보고, 이를 통한 대상자의 변화를 관찰하며 조금 더 자세히 공부해보려고 한다.
2. 입원 동기
00월 00일부터 Rt. chest pain 지속되어 Local 진료 보았다가 ER통해 본원 내원함.
참고 자료
[1] 신경림, 김옥수, 강윤희, 김남초, 김영경, 김춘길, 박선영, 백성희, 서남숙, 신성례, 신수진, 이수정,
이순희, 이혜련, 정승은, 차지영, 최귀윤(편) (2015). 성인간호학[상] (9판). 서울: 현문사.
[2] 신경림, 김옥수, 강윤희, 김남초, 김영경, 김춘길, 박선영, 백성희, 서남숙, 신성례, 신수진, 이수정,
이순희, 이혜련, 정승은, 차지영, 최귀윤(편) (2015). 성인간호학[하] (9판). 서울: 현문사.
[3] 차영남, 장효순, 한혜실,정정숙, 윤진, 정여숙, 양복순, 공은숙, 형희경, 이정옥, 양명석, 임경자, 최미숙,
정수경(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3판). 서울: 현문사
[4] 최순희 (2013). 간호과정 (3판). 서울: 현문사.
[5]성낙인 (2014). 간호과정 실무지침 (5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6] 병원EMR
[7] 드러그 인포 약품정보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