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日本軍慰安婦) 또는 일본군 성노예 제도(日本軍性奴隸制度)는 일본 전쟁 범죄의 하나로, 일본 정부는 2차 세계대전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만들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취업 사기 또는 강제 연행을 통해 모집했는데, 이를 자기들의 용어로는 '위안부'라고 불렀다. 취업 사기의 경우 일본인, 친일파 브로커를 통해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며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보내기도 했으며, 강제 연행은 주로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 행정 당국의 묵인 또는 방조 하에 일본군과 일본 경찰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이는 피해 당사자인 여성들의 의사에 반한 반인륜적이고 폭력적인 행위였다.
일본이 만주사변(1931.9.18)을 일으킨 이후부터 태평양전쟁에서 패전한 1945년까지 전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설치한 ‘위안소’에 강제동원되어 일본군의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문헌과 증언 속에서는 작부, 특수부녀, 추업부(醜業婦), 예기, 창기, 여급 등의 호칭으로 나타나고, 위안소도 육군오락소, 구락부, 군인회관, 조선요리옥 등의 호칭으로 불렸다.
위안부의 배경
1918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때 7개 사단 가운데 1개 사단 가량이 성병으로 폐인이 되었다. 이런 병력손실을 막기 위하여 1931년 9월 만주사변 당시에는 군용 공창가(公娼街)를 만들어 일본군이 가는 곳마다 위안소가 생겼다. 최전선 수비대를 위해서는 출장 위안부가 파견되기도 하는 등 이때부터 위안부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의 위안부 모집은 공개 모집, 광고 등을 통하였다. 1938년 1월의 중일전쟁 때는 상하이 부근 공창가에 육군 위안소를 열었다. 24명의 일본 여자와 80명의 조선 여자가 항시 대기하고 있었는데 조선 여자들은 대부분 한반도 남부 출신이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