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를 통한 갈등관리방식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사례를 중심으로 -
*병*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1. 연구목적
2.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분석틀
Ⅱ. 공론화와 공론화위원회의 개요
1. 공론화(공론조사)의 개요
2. 공론화위원회 개요
Ⅲ. 공론화위원회의 주요활동의 기능과 특성
1. 공론화 추진과정
2. 공론화위원회의 조직과 주요기능
3. 공론화위원회 주요활동 및 특성
Ⅳ. 공론화활동의 결과
1. 만족도, 공정성과 수용성 제고
2. 대화와 대타협으로 사회갈등현안해결방식 마련
Ⅴ. 신고리 공론화사례의 갈등관리방식으로의 유용성 분석
1. SWOT분석
2. 갈등관리방식으로의 유용성 여부
Ⅵ. 결론
본문내용
1.연구목적다양한 사회적 욕구와 가치가 공존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갈등관리는 많은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채종헌 외 2010: 46).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공영역의 갈등해소를 위한 갈등관리방식으로 적용되고 사용된 유형은 다양하다. 즉, 각종의 협의체, 전문가위원회, 공동조사단, 주민설명회, 주민공청회, 여론조사 등이 그것이다. 이들 방식에는 참여자의 대표성이나 전문성 결여의 문제뿐만 아니라 참여의 효율성과 정책결정과정의 정당성 결여문제 등이 지적돼 왔다. 현재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갈등분야 중에 과학이나 환경과 같은 전문성을 요하는 갈등분야에서는 갈등참여자의 특정 정보에 대한 접근한계와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갈등의 양상이 더욱 첨예화되고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그것이 공공정책과 결부될 경우에는 갈등은 양적인 증대뿐만 아니라 갈등범위가 전 국민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들은 공공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정부와 국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방식인지에 대해 깊은 고민에 빠지기 마련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공갈등관리방식의 한 형태로 공론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물론 공공정책에 대한 갈등관리 방식으로써의 공론화방식이 다원적 사회구조 속에서 공공부문의 복잡다단한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형태를 완벽하게 해결하는데 유용한 것인지, 아니면 갈등을 더욱 표출시키고 확장된 갈등을 양산하고 전개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연구자들 간의 완전한 합의가 이뤄진 것은 아니다(이호용 2013; 김원용 2010; 김길수 2018).
참고 자료
권미혁(2018), “시민참여 공론장 어떻게 활성화 시킬 것인가? : 집담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212호), 2018.03.14. (14:00~14:00).권용수·박계관·김승연(2007), “정부위원회의 조직개편 방향” 『국회입법조사처 연구용역자료』.
김길수(2018), “신고리5·6호기 공론조사 사례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2권 제2호.
김원용(2003), “공적이슈에 대한 효과적 국민의사수렴수단으로서 공론조사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박영원(2015), “정부위원회의 현황과 개선방향 현안보고서” 『2014년도 국정 감사 시정 및 처리결과 평가보고서』
신옥주(2018),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신고리5·6호기 건설중단 결정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국가법학회』.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2018), 『숙의와 경청, 그 여정의 기록 신고리5·6호 기 공론화백서』 서울: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신고리5·6호기 건설 중단/재개대표단체(2017), 『신고리5·6호기 공론화 자료집』.
오현철(2018), 『토의민주주의』 전주: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은재호(2018), 『대북정책 맞춤형 공공토의 모델 개발』
은재호·정명훈·장연주(2012), “가칭 ‘국가공론위원회’의 효과적 운영방안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이성우(2013), 『정책분석론: 이론과 기법』 서울: 조명문화사.
이종수·전주상·김철(2003), 『정부위원회의 효율적 운영방안』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이호용(2013),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국가공론위원회법 제정에 관한 연구”, 『한국 법정책학법과 정책연구』
전일욱(2016), “한국사드(THAAD)배치 결정에 대한 SWOT 분석” 『한국동북아논총』 81: 2.
채종헌(2009),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공공갈등의 구조분석” 『한국행정학보』 43권 2호 : 147-176.
채종헌·정지범(2010),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 정책의 공론화와 갈등예방 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최경희(2009), “지역산업진흥사업 거버넌스 네트워크 연구 : 대구 밀라노프로젝트 와 광주 광산업프로젝트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사)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최인호의원(2017), “탈원전과 신고리5·6호기의 공정한 공론화 방향 모색”, 8.9(수) 10:00,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공론화 토론회.
한국행정연구원(2017), “국가공론위원회 설립 및 운영방안”, 『한국행정연구』 통권 제56호.
한국정책학회(2018), “신고리원전 공론화가 남긴 것: 평가와 전망”, 『한국정책학회보』 52권.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 위원회 홈페이지(www.sgr56.go.kr)
조선일보 홈페이지(www.chosun.com)
헤럴드경제 홈페이지(biz.heraldcorp.com)
정책공감 홈페이지(blog.daum.net/hellopolicy)
동아일보 홈페이지(www.donga.com)
경향신문 홈페이지(www.khan.co.kr)
산업자원통상부 홈페이지(http://www.moti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