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중(아무거나) 그 안에서 무용 or 국악 영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19.10.01
- 최종 저작일
- 2019.10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함의
1) 국악의 개념
2) 국악의 필요성
2. 영화 <두레소리>
1) 영화 소개
2) 영화 줄거리
3. 영화 <두레소리> 특징
4. 영화 <두레소리> 국악 영상이 미치는 영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1세기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예술 시장에서 외국 문화예술과 함께 나아가기 위하여 우리 고유 문화유산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가치 및 다양한 문화 속에서 전통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며,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시대의 과제이자 필수 불가결한 일이다. 이에 우리나라 역시 한국 전통 문화에 관한 자부심을 가지며 미래 사회에서 세계 각국의 수많은 문화 속에서 매몰되지 않기 위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개발, 보급에 대하여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민족의 정신적 혼이 담겨 있는 대표적 전통문화유산 국악에 대한 계승은 21세기 우리의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국악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2012년에는 영화 <두레소리>를 통하여 대중들이 국악에 대한 관심을 계기를 마련하였다. 영화 <두레소리>는 2008년에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에 만들어진 ‘두레소리 1기생’들에 대한 창단실화를 극화해서 담아낸 영화로, 청소년들의 국악 합창을 소재로 담고 있다. 영화 안에서의 청소년들의 국악 합창곡들은 판소리, 경기민요 등 국악을 바탕으로 한 시김새를 모두 살려두었으며, 서양 합창곡의 형식에 종묘제례악 선율을 함께 차용하는 등, 국악과 서양음악이 서로 조화되고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영화 <두레소리>는 국악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그렇게 어렵고 다가가기 힘든 음악이 아닌 것임을 알려준다.
현대사회에 국악이란 단순한 과거와 전통의 음악이 아니며,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존재하는 음악도 아니다. 음악은 끊임없이 그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하고, 국악 역시 살아 있는 음악으로써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악을 단순히 ‘전통 음악’으로만 바라보고서 이를 소홀히 다루고자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영화 <두레소리>에 나오는 국악 영상이 대중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하여 국악에..
<중 략>
참고 자료
강상현, 채백,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2009.
공진희, “국악을 통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과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권덕원 외,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8.
박이숙, “중등학교 국악교육 관련 석사학위논문의 동향분석(2008~2012)”,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최은진, “코다이 교수법을 이용한 한국 민요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중학교 3학년 가창 제재곡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