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골절의 정의
골절이란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은 다양한 부위와 연령에서 발생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골절은 낙상, 자동차 사고 등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발생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골절이 생길 수 있다. 골절을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신체기능의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할 수 있고, 장기적 부동을 요하는 치료로 인하여 합병증이 유발된다.
2) 골절의 원인
근골격계 외상은 오토바이 사고, 낙상, 분쇄상, 스포츠 손상 및 자동차 및 도보 충돌과 같은 둔상사고와 총상이나 자상 같은 관통상으로 발생한다. 근골격계 손상의 85%가 둔상이다.
3) 골절의 종류 및 신체 부위별 골절
(1) 골절의 종류
① 폐쇄골절(Closed fracture)
- 골절부위의 피부에는 손상이 없는 골절이다.
② 개방골절(Open fracture)
- 골절 부위가 피부 밖으로 돌출하여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된 상태로 복합골절 이라고도 한다. 뼈와 피부의 창상이 외부에 노출되어 감염의 우려가 있다.
③ 선상골절(Linear fracture)
- 골절부위가 골절 선에 맞붙어 있는 횡선이나 사선 등의 골절 선을 가지며, 뼈에 약간 또는 중간 정도의 직접압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사선골절, 종선골절, 횡선골절, 나선골절 등으로 분류한다.)
④ 전위골절(Displaced fracture)
- 골절편이 골절 선에서 분리되어 정상적인 위치를 이탈한 상태로서 골절된 부위 양측명의 골막은 찢어지게 된다.
⑤ 분쇄골절(Comminuted fracture)
- 골절된 뼈가 산산히 부서진 형태로 자동차 사고와 같은 강한 힘에 의해서 발생한다.
⑥ 매복골절(Impacted fracture)
- 골절 부위의 한쪽 종단면이 다른 쪽의 종단면에 박히는 경우이다. 똑바로 떨어졌을 때 발생 가능하다.
⑦ 압박골절(Compression fracture)
- 뼈의 종축에 체중과 같은 무리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다. 노인의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이 대표적인 예가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