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 Counting 결과
- 최초 등록일
- 2019.09.20
- 최종 저작일
- 2017.04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Cell Counting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Title
Ⅱ. Date
Ⅳ. Purpose
Ⅴ. Material
Ⅵ. Method
Ⅶ. Results
Ⅷ. Discussion
Ⅸ. Projects
본문내용
Ⅳ. Purpose
균의 colony forming 형태를 관찰하고 대략적인 cell의 농도를 관찰한다.
Ⅴ. Material
Micrococcus Iuteus, Escherichia coli, 균 키울 plate(LB plate), Spreader, 알코올 램프, Pipette, tip, ep-tube
*11주차에서 진행한 균주를 배양한 plate를 이용, 모든 조의 실패로 인한 조교님이 임의로 하신 값을 이용하여 실험 진행(위의 재료는 본 실험 주차에 했다는 가정하에 임의 기록)*
Ⅵ. Method
① Serial dilution을 통해 10-5까지 희석액을 만들어준다.
② 10-1에서 10-5까지 한 개씩 한 사람이 spreading해준다.
③ colony 개수를 파악해 cell의 농도를 파악한다.
*①, ②의 과정은 11주차에서 진행하였음*
< 중 략 >
미생물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30~300개인 희석배수를 이용한다. 이는 30~300개가 유효 숫자이기 때문이다.
① 6개 다 평균 내어 센 개수
1. 각 plate의 Colony 수가 30-300개인 희석배수를 확인한다.
⇨ 10-4
2. 위 희석배수에서 plate당 평균 colony 수를 계산한다.
⇨ 평균 colony의 수= (78+90+114+96+108+72+84)/7= 91.7, 대략 92
3. 이 토양 시료의 미생물 밀도는 다음과 같다.
⇨ 미생물 밀도= 평균 colony의 수ⅹ희석배율ⅹ구하고자 하는 밀도만큼 주입한 양
= 92ⅹ104ⅹ10=9.2ⅹ106(CFU/g)
② 최대, 최소를 제외한 colony의 개수
1. 각 plate의 Colony 수가 30-300개인 희석배수를 확인한다.
⇨ 10-4
2. 위 희석배수에서 plate당 평균 colony 수를 계산한다.
⇨ 평균 colony의 수= (78+90+96+108+84)/5= 91.2, 대략 91
참고 자료
환경 미생물학/ 김종오 외/ 형설 출판사/ 1998년판/ P. 539~547
최신 식품 미생물학/ 유태종 외/ 문운당/ 2000년판/ p. 105~107
[네이버 지식백과] 생균수 측정법 [determination of viable count]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광일문화사)
[네이버 지식백과] 직접계수법 [直接計數法, direct count method] (토양사전, 2000. 10. 15., 서울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