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단 논문 태권도 고단자 심사의 개선 방안
- 최초 등록일
- 2019.09.17
- 최종 저작일
- 2019.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I. 서론
II. 용어의 이해
1. 심사
2. 품
3. 단
4. 승품 심사
5. 승단 심사
6. 저단자 심사
7. 고단자 심사
III. 의례로서의 심사
1. 의례의 의미
2. 의례로서의 태권도 심사예식
IV. 고단자 심사제도 변화과정
1. 승단연령의 변화
2. 심사 내용의 변화
3. 특별 심사의 세칙 변화
V. 개선방안
1. 무도형 겨루기 도입
2. 손기술의 적극적 사용
3. 다양한 종류의 격파
4. 정신적 심사 내용 추가
VI. 결론
본문내용
2016년 국기원에서 집계된 자료에 의하면, 태권도는 전 세계 207개국에서 약 1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수련하고 있으며, 이들 중 유단자는 950여 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대권도 단일 국제경기는 16개이며 올림픽, 아시아경기, 유니버시아드 대회, 팬암대회, 아프리카 경기대회 등 15개 종합국제경기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태권도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생활체육으로의 영역뿐만 아니라 엘리트 스포츠로서 그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태권도 고단자로 분류할 수 있는 6단 이상자는 950여 만명의 태권도 유단자 중, 1만 8천여명, 이 중 1만 2천여명은 국내의 고단자이다. 이들은 국기원에서 주관하는 승단심사를 통해 자신의 기량을 검증받아야만 고단자의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승단심사제도는 전 세계의 태권도인들이 무도인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것을 지표로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세계적인 태권도 수련의 방향을 결정한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승단심사에 대한 대중들의 불신이 깊어지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고단자 심사에 관하여도 다양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사실 태권도 고단자의 명예와 가치가 우리사회에서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태권도의 정체성을 강화하는데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오랜 기간 태권도를 수련하여 다양한 승단심사과정을 통과 하여 6단 이상의 자격을 부여 받은 태권도인을 가리켜 우리는 ‘고단자’라고 부른다. 종목을 불문하고 무도에서 의미하는 고단자는 그 무도가 함축하고 있는 철학과 정체성은 물론, 무도에서 가르치는 기술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이해하고 통달한 인물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해당 무도의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이 바로 고단자인 것이다. 이러한 위상에도 불구하고 고단자의 승단심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어, 새로운 시각을 통해 기존의 제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여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참고 자료
국기원, 『태권도 교본』, 오성출판사, 2001.
김재준, 「의례로서 태권도 심사에 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박경호 외 2명, 「태권도 고단자 승단심사의 변화과정과 의미」, 대한무도학회지, 2016.
류호평, 「한국 태권도 심사제도 변천의 역사적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