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이고
문헌고찰 사진도 있고, 분만부터 신생아간호까지 완벽하고
간호과정도 분만 시기별로 자세히 적혀져 있습니다.
교수님이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고하셨고 A+ 케이스에요!!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Ⅱ. 문헌 고찰
1. 정상 분만의 정의
2.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분만의 전구 증상
4. 분만의 기전
5. 분만의 단계
6. 분만 단계별 간호
Ⅲ. 간호 과정
1. 간호 사정
2. 간호 진단, 목표/계획, 수행, 평가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정상 분만이란 수술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 하는 것이다. 정상 분만은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나서 태아가 만출 되기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3기, 태반이 만출 까지 이루어진 뒤 분만 후 1시간 동안을 4기로 나누게 되고,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은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도 나타날 수 있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 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 분만이라고 한다. 정상 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
2.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의 필수 요소 5P )
1) 만출물(Passenger) : 태아, 태반, 양막, 양수
2) 산도(Passageway) : 경산도(골반), 연산도(경부, 질, 회음조직)
3) 만출력(Power) : 1차 만출력(자궁수축), 2차 만출력(산모의 노력)
4) 산모의 심리상태(Psychologic reponse) : 정서적 준비, 지지자 및 환경적 상태
5) 산모의 자세(Position) : 분만과정 중 산부의 자세
3. 분만의 전구 증상
1) 태아 하강감(Lightening) : 태아 선진부가 진골반 속으로 하강하면서 나타나는 징후
(1) 초임부 : 분만 2~3주 전
(2) 경산부 : 분만 직전
(3) 증상 : 자궁이 앞으로 더 돌출되고 하강하여 호흡이 편해짐. 위장장애 및 불편감의 완화, 빈뇨, 다리경련, 골반 압박감은 심해짐
2) 가진통(False labor)
(1) 강하고 빈도가 잦은 불규칙한 자궁수축
(2) 서혜부 하복부의 통증이 심하며, 수면곤란, 긴장, 피로감이 증가
3) 이슬(Bloody show)
(1) 갈색 또는 혈액이 섞인 경관점액
(2) 경관을 막고 있는 점막마개와 선진부 하강으로 인해 자궁경관의 미세혈관들이 압박되면서 생긴 약간의 혈액이 섞여 나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