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
8. Discussion
9. Project
10. References
본문내용
우리 1조는 결론적으로 침샘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초점이 잘 맞지 않아 염색체의 모양을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었다. 침샘염색체와 같이 입체감이 심한 표본일수록 광학현미경을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럴때는 광학현미경보다 실체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체현미경은 육안으로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를 볼 때에는 두 눈이 다른 각도로 보기 때문에 입체감을 얻을 수가 있다. 보통 현미경에서는 두 눈의 접안렌즈를 사용해도 대물렌즈로부터의 광축이 하나이기 때문에 입체감을 얻을 수 없지만, 실체현미경에서는 광축 사이에 약 15°로 벌어진 2개의 광속에 의해 정립한 확대 상을 만들고, 이것을 각각의 눈으로 봄으로써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배율은 10∼100배가 보통이며, 최근에는 줌(zoom)식으로 배율을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있다. 따라서 머리 부분을 떼어낼 때에는 입체감있게 볼 수 있는 실체 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침샘염색체를 관찰할때에는 광학현미경을 사용해야 함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퍼프 [puff / chromosome puff] (두산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 침샘염색체 [salivary gland chromosome] (생명과학대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실체현미경 [stereoscopic microscope] (두산백과)
· 전사인자/ jane B.Reece 외 5명/바이오사이언스/2012/298p
· 생명 생물의 과학 9판/Sadava 외 3명/라이프 사이언스/2012/134p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