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간호과정 적용사례
1. 간호사정
① 환자 간호력
② 신체검진
③ 검사소견
④ 약물 투여 기록
2.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➀ 농양으로 인한 두 개내압상승과 관련된 뇌조직의 비효율적인 조직 관류
➁ 뇌조직 관류 장애와 관련된 급성 통증
➂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정의
: 뇌조직 내로 침입한 세균으로 인해 발생한 농양
- 농양은 하나일 수도 있고 뇌의 여러 부위에 여러 개의 농양이 있을 수도 있다.
② 원인
: 여러 종류의 세균
요즘은 광범위한 항생제의 사용, 면역결핍증 환자의 증가 등으로 혐기성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되었으나 몇 가지 서로 다른 세균들이 뇌농양 부위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1) 뇌 수술의 절개 과정에서와 같이 두부에 뇌를 관통하는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 박테리아
2) 두부의 다른 곳(예: 치아, 코 또는 귀)에서 퍼지는 감염
3)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뇌로 향하는 혈류를 통해 퍼지는 감염
③ 증상 ( 농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다양 )
1) 둔한 양상의 두통
: 통증은 주로 뇌농양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농양을 치료하지 않으면 통증이 악화된다.
2) 근력 약화
3) 발작
4) 미열
5) 오심, 구토
6) 목의 뻣뻣함
7) 성격 변화
④ 진단
1) 컴퓨터단층촬영(CT)
2) 자기공명영상촬영(MRI)
3) 뇌척수액검사
: 농양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뇌탈출의 위험이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4) 뇌조직생검, 농양흡인술
: 일부에서 균을 직접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⑤ 치료
1) 항생제
: 항생제 치료는 보통 6~8주 이상 시행하며, 항생제로 치료하면서 기다려 본다.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 가능하면 많은 세균을 죽일 수 있는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다.
2) 수술 또는 흡인술
: 뇌농양의 피막이 형성된 경우에는 흡인술을 통해 농양 내부의 고름을 빼내서 뇌농양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