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전문학사 과제로 최치원을 주제로 썼던 것으로 A+ 받았습니다. 직접 책이나 논문 전부 찾으며 한 것으로 참고문헌과 각주 전부 달려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최치원에 대한 기본 입장
3. 최치원 분석
3.1 최치원 생애 및 역사적 배경
3.2 문학작품에 나타난 최치원의 생각
3.3 신라 사회 재건을 위한 최치원의 노력
4. 최치원에 대한 평가
5. 맺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한국문학통사는 한국 문학사 연구에서 금자탑으로 평가되는 대단한 업적이다. 체계적이면서도 방대한 자료를 다루고 있으며, 거시적인 이론을 가지고 미시적인 작품을 분석하는 총체적인 작업을 진행하였다. 시대구분이나 문학 갈래의 차원 등에서 여러 다른 논의가 이루어짐에도 이 책을 대체할 만한 다른 문학사 서술의 등장은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세간의 지배적인 평가 역시 이러한 점에서 기인한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문학통사에 등장하는 기술과 견해가 반드시 절대적인 위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사람에 따라 관점과 분석의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거시적인 체계에서의 전체를 조망하는 대등한 위치까지 가기는 힘들겠지만, 미시적인 차원인 책의 부분에서 자신의 견해를 조금씩 풀어가는 과정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큰 업적을 반박 혹은 동조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공부와 노력은 고전문학사에 대한 개인의 견해를 두루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문학통사를 읽은 후 책의 저자와는 다른 견해를 가진 지점을 잡고 이를 중심으로 반박의 근거를 제시한 후 필자의 의견을 다루어 볼 예정이다.
2. 최치원에 대한 기본 입장
‘놀라운 재능을 역사의 방향과 연결시킬 수 없었던 지식인의 본보기를 일찍 보여주었다.’, ‘최치원은 방안에 들어앉아서 역사의 현장을 외면하면서 스스로 고독을 택했다.’ 이것이 한국문학통사에서 최치원에 대한 평가를 간략히 정리하여 보여주는 문구이다. 대단한 재능을 타고난 것은 부정할 수 없으나, 시대의 흐름에서 지식인으로서 요구되는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실패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의 관점에서 이는 결과론적인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공부를 열심히 했으나 성적은 잘 나오지 않았다는 이야기에서 결국 성적이 좋지 않았다는 평가만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최치원이 인생의 말년에 다다를수록 속세와는 단절된 삶을 추구하고 불교, 도교에 심취하여 지낸 것은 사실일 것이나, 역사는 하나의 큰 흐름으로 이해해야 한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5
고운국제교류사업회, 『고운 최치원의 종합적 조명』, 문사철, 2009
고운국제교류사업회, 『고운 최치원의 역사관』, 문사철, 2010
강구율, 「고운 한시에 나타난 이원적 현실인식과 갈등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문학과 언어 제23집, 2001
강상순, 「기획논문 : 『한국문학통사』를 통해 본 문학사 서술의 성과와 과제 ; 『한국문학통사』 다시 읽기-고전문학사 서술의 지표와 이론 / 논평」, 고전문학연구 28권 0호, 한국고전문학회, 2005
김복순,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민족문화 제34집, 2010
이황진, 「최치원의 재당 생애 재고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한국민족문화 제42호, 2012
이황진, 「최치원의 귀국 후 한시작품 연구」,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 연구소, 한국민족문화 제51호, 2014
장일규, 「최치원의 귀국 후 활동과 은둔」,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제76호, 2004
최영성, 「최치원 시무책의 건의 배경에 대한 고찰」,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제58,59호, 1999
최영성, 「고운 최치원의 생애 재고찰-생애의 중요한 몇 장면들」,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논집 51권 0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