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발열량 측정실험
Ⅰ-1. 서론
Ⅰ-2. 이론전개
Ⅰ-3. 실험
Ⅰ-4. 결과
Ⅰ-5. 결과토의
Ⅰ-6. 결론
Ⅰ-7. 참고문헌
Ⅱ. 열화상 카매라
Ⅱ-1. 서론
Ⅱ-2. 이론전개
Ⅱ-3. 실험
Ⅱ-4. 결과
Ⅱ-5. 결론
Ⅱ-6. 열화상 카메라의 활용
Ⅱ-7. 참고문헌
Ⅲ. 연소 실험
Ⅲ-1. 서론
Ⅲ-2. 이론전개
Ⅲ-3. 실험
Ⅲ-4. 결과
Ⅲ-5. 결과토의
Ⅲ-6. 결론
Ⅲ-7. 참고문헌
Ⅳ. 열전대 실험
Ⅳ-1. 서론
Ⅳ-2. 이론전개
Ⅳ-3. 실험
Ⅳ-4. 결과
Ⅳ-5. 결과토의
Ⅳ-6. 결론
Ⅳ-7.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1. 서론
발열량계 CAL2K-ECO를 이용하여 시료의 발열량을 측정하고, 수분량 측정기를 이용해 수분량을 알고 이를 이용해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을 각각 구해 이 값을 비교한다.
Ⅰ-2. 이론전개
시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열량계가 완전히 단열이 되어 있다면 열량계가 얻은 열량은 시료의 발열량과 같다. 발열량계에서 측정한 시료의 발열량은 고위발열량()이고 이고 여기서 는 수증기의 응축열(증발열), 600()이다. 액체나 고체 연료 1kg에 함유된 수소량과 수분량이 각각 H, W라 하면, 이 된다.
Ⅰ-3. 실험
⑴ 측정하고자 하는 건조시료 0.2g을 준비해 용기 홀더에 넣은 후, 발화용 도선(가는철선)을 연결하고 봄베 뚜껑을 닫는다.
⑵ 시료가 채워진 봄베를 가스주입기를
이용하여 가스를 채운다. (가스주입기의 왼쪽 게이지가 2,000kPA 이 되도록 한다.)
그 후에 산소 용기의 밸브와 레귤레이터 밸브를 잠근다.
⑶ 열량계의 표시창에 “ENTER (SID) MASS"란 지시어를 확인 후 MA=0.2를 입력 후 엔터를 친다. 다음, SI=xx(시료 순서를 차례로 입력)를 입력 후 엔터를 친다.
⑷ “INSERT VESSEL"란 지시에 따라 봄베를 열량계본체에 넣고, "CLOSE LID”란 문구가 뜨면
열량계 본체의 뚜껑을 딸깍 소리가 날 때 까지 천천히 닫는다.
⑸ 위 과정을 거쳐 “INITIAL T=x.x", "FIRING", "MAIN T=x.x"의 과정을 거쳐 열량측정치가 표시 창에 나타난다.
(caution) 다음의 문구가 LCD창에 표시된다면 용기를 열어서 확인 후 처음 과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 MAIN : MISSFIRE : Firing 다음에 18초 동안에 점화가 되지 않았다.
• NO FIRING WIRE : 점화선이 연결되지 않았다.
• CHECK : BOMB LEAKS : 폭발 용기가 샜다.
• FIRING V. FAULT : 점화를 위한 전압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여 제대로 점화하지 못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