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2개, 문헌고찰 상세함)
- 최초 등록일
- 2019.09.06
- 최종 저작일
- 2019.09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기흉에 대한 케이스스터디 입니다.
간호진단 2개, 문헌고찰 상세함.
목차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내원동기(사고 원인 및 경위)
3. 사고 및 발생당시부터 응급실 도착시까지의 경위
4. 응급실 도착 시 초기 평가(Primary survey)내용
5. 응급실 도착 시 2차 평가(Secondary survey)내용
6. 환자에게 시행한 응급검사
7. 응급치료 및 간호
8. 경과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pneumothorax, 기흉]
① 정의
:장측 혹은 벽측 흉막의 손상으로 인하여 폐와 흉벽 사이의 흉막강 안에 공기가 축적되어 흉막내압이 상승하고 폐의 허탈 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
② 원인
*폐쇄성 기흉(closed pueumothorx)
:가장 흔한 형태는 자연기흉으로 외상없이 흉막강 내에 공기가 축적된 상태. 폐감염이나 선천적 허약으로 형성된 소수포나 대수포가 파열되어 공기가 폐에서 흉막강으로 누출되어 발생한다. 자연기흉은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게 호발하고 흡연도 위험요인이 된다. 장측벽에 있는 수포는 수면, 휴식, 운동 중에 터진다.
*개방성 기흉(open pueumothorx)
:외상에 의해 횡격막이나 흉벽에 구멍이 생겨 흉막강 내로 공기가 들어가고, 그로 인해 흉막내압이 증가하여 폐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허탈된 상태. 자상이나 총상, 흉곽천자, 중심정맥압 측정을 위한 튜브 삽입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긴장성 기흉(tension pueumothrax)
:개방성기흉이나 폐쇄성기흉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데, 상처의 피부판이 일방향성 판막작용을 하므로 흡기 동안 흉막강 내로 들어온 공기가 호기 동안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흡기마다 계속 공기량이 증가되고, 흉막내압이 상승되기 때문에 종격에 압력을 가해 종격동 변위를 초래하고, 손상되지 않은 폐를 압박하여 환기를 감소시킨다. 대정맥이 압박되어 심장으로의 정맥귀환을 방해하여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심각한 순환장애와 폐손상을 유발하며,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 흉곽 둔기외상, PEEP에 의한 기계적 환기, 밀봉배액, 중심정맥관 삽입이 원인이다.
참고 자료
조경숙 김희경. 「성인 간호학 상권」. 현문사(2016). P614~616
권소희, 권수혜.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2017)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7)
www.health.kr [약학정보원]
http://health.mw.go.kr/Main.do [국가건강정보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