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istory
2. CASE STUDY
3. V/S
4. I/O
5. Body weight
6. BST
7. 진단검사
8. 임상검사
9. Medication
10. Problem List
11. 간호진단
12. 문헌고찰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Case study
상환상기병력으로 본원 IMC, IME f/u하시는 분.
2019.03 Chest paIn으로 본원 IMC입원하여 C-Echo, TL Scan 시행하고 asprin, plavix, diuretics 포함하여 약제 조절 후 퇴원한 바 있음. 당시 valve op 권고하셨으나 가족분들끼리 상의하기로 하셨음.
그간 약물 중 오전약은 잘 복용하였으나 저녁약(nicorandil, furosemide)는 복용 안하였다고 하였고, 이뇨제는 1t bid 처방이나, 1t씩만 복용해왔다고 하심. 내원 3-4일 전부터 nausea 심해져 식사 거의 하나도 하지 못했다고 하나 약 복용은 지속했다고 함. 누우면 숨이 차서 거의 눕지 못했으며 이전에는 괜찮았으나 발등 및 종아리가 3일전부터 조금씩 부었다고 함. 증상호전없고 호흡곤란 심해져서 본원 ER 내원.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에서 AKI 및 pulmonary edema, bilateral pl.effusion 소견 있으면 anemia 있음. L/T irrigation DRE는 negative I/O control 및 HF management 위해 순환기내과 입원
Problem List
1. 체내 수분배출 부족과 관련된 체액불균형
2. ADL 수행능력 감소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3. 신체적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4.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5.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단기목표>
- I/O check시 3일 이내에 차이가 300이내가 되도록 한다.
<장기목표>
- 퇴원시까지 몸무게가 감소하지 않게 한다.
간호계획 (Nursing plans)
1. body weigh 사정한다.
2. I/O 사정한다.
3. V/S 사정한다.
4.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준다.
5. 식이 제한을 교육한다.
1. 체액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체내에 저류되어
체중이 증가된다. 체중은 수분균형을 반영하므로 이뇨제 투여 후 매일 측정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