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한 기술적 정의 및 작동원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DSSC (Dye-Sensitized Solar Cell)는 비표면적이 넓은 금속산화물 표면에 염료를 흡착시키고, 흡착된 염료가 태양광을 흡수해 광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전지이다. 이는 시장침투 (Market Penetration)와 시간을 기준으로 볼 때, 유기태양전지 (Organic Photovoltaic),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Hybrid Solar cell)등과 함께 3세대 태양전지로 분류되며 그중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상업화에 한걸음 앞서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림 1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작동 원리 및 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표면에 염료 분자가 화학적으로 흡착된 n-형 나노입자 반도체 산화물 전극에 태양 빛이 흡수되면 염료분자는 전자-홀 쌍 (electron-hole pair)을 생성하며, 전자는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된다. 반도체 산화물 전극으로 주입된 전자는 나노입자간 계면을 통하여 투명 전도성막으로 전달되어 전류를 발생 시키게 된다. 염료 분자에 생성된 홀은 산화-환원 전해질에 (redox electrolyte) 의해 전자를 받아 다시 환원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 작동 과정이 완성된다. [1]
이상적인 태양전지의 등가회로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부하전류 (load current) I는 식 (1)에서와 같이 광발생전류 (photogenerated current) Iph와 다이오드전류 (diode current) ID 간의 차이로 표현되며 Shockley 태양전지 식에 따라 식 (2)와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2].
I = Iph – Ip [1]
I = Iph – I0 [exp {q (V + IRs) / AkBT} - 1] – (V + RsI) / Rsh [2]
식 (1)에서 kB는 Boltzmann 상수, T는 절대온도, q는 전하량, V는 태양전지 두 단자 간 전압, 그리고 I0는 빛이 없는 상태에서 포화 전류에 해당한다.
· 유기 태양전지, 이일형, 소대섭, 서주환, 박남규, 2006
· Photovoltaic engineering handbook, eds. F. Lasnier and T.G. Ang, IOP Publishing Ltd., New York, 1990
· ACS Sustainable Chem. Eng. Aseel Hadi, Qian Chen, Michele Curioni, Rongshi Xiao, Ting Huang, and Zhu Liu, 2018, 6, 12299
· Langmuir, Dhanavel Ganeshan, Fengyan Xie, Qingqing Sun, Yafeng Li, and Mingdeng Wei, 2018, 34, 5367
· ACS Appl. Nano Mater. Chantal Karam, Roland Habchi, Sophie Tingry, Philippe Miele, and Mikhael Bechelan 2018, 1, 3705
· ACS Appl. Energy Mater. Anil Kumar Bharwal, Laura Manceriu, Cristina Iojoiu, Jennifer Dewalque, Thierry Toupance, Lionel Hirsch, Catherine Henrist, and Fannie Alloin, 2018, 1, 4106
· ACS Energy Lett. Yan Hao, Wenxing Yang, Martin Karlsson, Jiayan Cong, Shihuai Wang, Xing Li,, Bo Xu, Jianli Hua, Lars Kloo, and Gerrit Boschloo, 2018, 3,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