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실 LOBECTOMY
- 최초 등록일
- 2019.08.15
- 최종 저작일
- 2018.05
- 4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성인간호학 수술실 LOBECTOM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진단명
2. 질병 발생원인
3. 수술명
4. 수술의 종류 및 방법
5. 합병증
6. 마취의 종류
7. Time out 실시하는 방법
Ⅱ. 수술 전 준비
1. 수술실 도착 시간
2. 환자 준비
3. 기계준비
4. 수술부위 소독
5. 마취
6. 피부 절개 혹은 수술부 위 접근 방식
Ⅲ. 수술방법
1. 주로 사용하는 기계
2. 주로 사용하는 봉합사 및 바늘의 종류
3. 절제 부위
4. 출혈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
5. 피부를 닫기 전의 절차
6. 드레싱
7. 마취에서의 회복할 때 간호 내용
8. 회복실로 환자 옮기기
9. 수술전, 중 투약 또는 검사
10. 수술과정
11. 수술환자의 간호 과정
Ⅳ. 소감
V. 참고문헌
본문내용
폐암의 발생률
폐암은 19세기까지만 해도 드문 질환이었으나, 흡연이 보편화되면서 급격히 증가하여, 남성에서 가장 흔한 암이다. 2002년 한국중앙암등록본부 연례 보고서에 의하면, 전체 암 발생 환자 99025 명 중, 폐암 환자는 11741명으로 전체 암의 11.9%를 차지했다. 폐암은 간암, 유방암, 대장암보다 흔하여서 위암에 이어서 국내 장기별 암 발생률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폐암 환자는 남자에게서 여자보다 3배 이상 호발하고 있다. 폐암은 남자에서 장기별 암발생률 2위, 여자에서 장기별 암발생률 6위에 해당하며, 인구 10만 명당 남자에서 폐암 발생률은 50.9명, 여자에서 폐암 발생률은 12.3명으로 계속하여 증가 추세이다. 폐암 발생 연령은 60대가 가장 흔하고, 그 다음이 70 대이다.
폐암의 사망률
폐암은 다른 암에 비하여 진행된 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치료가 어려워서 전체 암 중 발생률은 2위이지만 사망률은 1위인 질병입니다. 2005년 통계청 자료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의하면, 전체 암에 의한 사망 66228명 중 폐암에 의한 사망은 13805명 (20.8%)입니다. 이 중 남자가 10154명 (인구 10만 명당 41.6명), 여자가 3651명 (인구 10만 명당 15.0명)입니다. 위암, 자궁암에 의한 사망률은 감소추세이지만, 폐암, 대장암의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 추세입니다.
<중 략>
폐의 구조
- 숨을 들이쉴 때 공기는 코나 입을 통해 성대를 지나 기관으로 먼저 들어가게 된다. 숨 관, 숨줄, 또는 숨통이라고도 부르는 기관은 심장의 위쪽 뒤편에서 오른쪽 기관지와 왼 쪽 기관지로 갈라져서 각기 오른쪽 폐, 왼쪽 폐로 들어가고, 이들 주기관지는 다시 폐엽 기관지-구역기관지-아구역기관지-소기관지-세기관지의 순으로 마치 나뭇가지처럼 세분 되면서 공기가 폐의 모든 부분으로 흐르는 통로 구실을 한다.
참고 자료
삼성서울병원 (http://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국가암정보센터(https://www.cancer.go.kr/
서울대학교 암병원(https://cancer.snuh.org/main.do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main.asp
수술직후 환자에게 수행된 회복실 간호중재분석/박영례/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