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임상실습 A+받았습니다.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고
질병문헌고찰, 연령에 해당되는 성장발달 특징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차
1. 간호사례연구(Case Study) 양식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및 평가
5)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폐렴이란
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으로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음에도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고 있다. 종종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발생한다.
2. 원인
폐렴은 바이러스와 마이코플라즈마, 세균이 원인일 수 있다. 5세 미만의 아동은 흔히 RSV나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때문에 일어난다.
세균성폐렴은 모든 연령군에서 발생하고 5세 이상의 아동이 더 흔하다.
1) 정상방어기전의 손상: 공기 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페. 기침 반사, 점액섬모 청결 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에 손상이 온 경우이다.
2) 유발 위험요인: 의식상태저하(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를 억제하여 흡입성 감염 발생), 기관내 삽관(기침반사 억제와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영양장애(림프구와 백혈구의 기능 변화, 구강인두 상주균의 증식)이 있다.
3) 폐렴균 침입:
① 흡인: 정상 비인두와 구인두의 상주균 흡인
② 흡입: 공기 중 폐렴균이 호흡기도를 통해 흡입
③ 혈액: 신체의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확산
3. 분류
유행성 폐렴(지역사회 획득 폐렴):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언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이다.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흡연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며 가장 흔한 원인균을 폐렴구균이다. 65세 이상, 알코올 중독,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면역장애 등이 있을 때 더 쉽게 걸린다.
참고자료
· 김영혜 외 공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p78~81
· 김영혜 외 공저,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628~629
· 김영혜 외 공저, 최신인간성장발달과 건강증진, p138~145
·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137, 597, 620~623
·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p219,
·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228~,23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