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분만실 전치태반 사례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19.08.11
- 최종 저작일
- 2019.03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모성간호학 분만실 전치태반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연구
2.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문제 목록지(Nursing Diagnosis list)
5. 완성된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문제/간호진단
참고문헌
본문내용
* 주관적 자료
1. “혈당 조절하려고 노력해본적 없어요.”
2. “그냥 집안일 하고 집밥먹으면 조절되는거 아니에요?”
3. “밥이 잘 안넘어가요 속이 너무 답답해요”
4. “왜 계속 혈당 측정해요?”
5. “내가 양수가 나와서 여기 있는거 잖아”
6. “내가 잘못한 느낌이야 미안해 아기한테”
7. “선생님 소변이 잘 안 나와요”
8. “빨리 퇴원하고 싶어 진짜”
9. “움직이기도 싫고 힘들기도 하고”
* 객관적 자료
1. 자궁수축 호소함-간헐적, 쿡쿡 쑤시는 느낌
2. 간헐적 cough
3. 배뇨곤란 호소. Bladder distention 있음
4. leakage sensation, 리트라진 : 양성
5. PROM , GDM
6. 완전전치태반 지님
7. 38세의 고령의 산모
8. V/S : 체온- 37.3~37.5 보임
9. 선진부 : Breech
10. 검사실 자료
<중 략>
<진단적 간호>
1. 매 근무시마다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1-1. 1. 행동적, 신체적, 정서적, 생리적, 교감·부교감 신경계, 인지적으로 불안을 사정한다.
<치료적 간호>
1. 자조모임을 만들어 같은 진단을 받은 환자와 만나도록 하여 대화하는 시간을 가진다.
2. 환자에게 관심 있는 태도와 적절한 신체접촉을 통해 안도감을 느끼도록 한다.
3. 매 간호시마다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대상자의 말을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을 수용하는 대화를 한다.
5. 간호목표와 간호계획 설정 시 대상자를 참여시킨다.
6. 가족, 친구, 종교 등 지지체계를 만들도록 격려한다.
<교육적 간호>
1. 대상자가 진단 받은 전치태반, PROM, GDM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을 감소한다.
2. 심상요법, 근육 이완 요법, 심호흡 등의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2-1. 심상요법은 이미지 테라피로 불안을 일으키는 상황을 상상하여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이며, 근육 이완 요법은 인위적으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킴으로써 심리적 긴장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치료법이다.
참고 자료
Herdman, T. Heather.(2016).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2015-2017. 정담미디어 : 학지사.
Ignatabivious, Workman(2013). 성인간호학Ⅰ 7th ed(박정숙 외, 역).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성미혜 외(2018).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차영남 외 4명(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3th ed. 서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