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급성췌장염 케이스 간호진단
- 최초 등록일
- 2019.08.10
- 최종 저작일
- 2019.03
- 3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소개글
A+ 급성췌장염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계획 5개 이상씩 무조건 있습니다 !
목차
A.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진단검사
4. 증상
5. 치료 및 간호
B. 간호과정 적용사례
1. 간호사정
1) 자료수집
① 환자 간호력
② 신체검진
③ 검사소견
④ 치료경과
④-1. 진단명
④-2. 치료 방법(약물, 수술, 특별식이 등 포함)
④-3. 치료 목적
2) 자료분석
3. 간호계획
1) 간호목표(장기, 단기)
2) 간호활동 계획, 이론적 근거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C.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1) 급성 췌장염의 정의
급성 췌장염은 담석, 음주, 대사 장애,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선 세포(이자의 외분비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고, 광범위한 간질성 부종, 출혈 등을 유발하는 췌장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2) 원인
- 담석에 의한 췌장염 (빈도: 30~75%)
<예> 담석이 담췌관의 말단 부위인 오디 괄약근 부위에 들어가 박힐 경우
담석이 담췌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디 괄약근의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경우
- 알코올에 의한 췌장염 (빈도: 30~60%)
<예> 만성 음주자에게서 췌장의 분비 기능에 가벼운 장애가 나타남
- 특발성 췌장염 (빈도: 5%)
<예> 미세 담석,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 분할 췌장 등
- 유전 췌장염
<예> 유전자 이상 동반
2. 병태생리
<급성 췌장염의 4가지 주요 병리과정>
1) 단백분해과정
- 트립신 활성화로 췌장 실질세포의 자가소화
- 단백질 분해로 polypeptic 형성
2) 지방분해과정
- Lipase, phospholipase A에 의해 외분비세포괴사
- 지방분해과정에서 지방산 배출되어 이온화되니 칼슘과 결합
3)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과정, 출혈
- Elastase가 trypsin에 의해 활성화되어 혈관벽과 췌관의 탄력섬유가 용해되어 출혈초래
4) 염증단계
- 췌장의 출혈과 괴사 부위에 백혈구 이동되어 염증 초래
- 췌장 실질 조직의 화농으로 농양 형성, 가성낭종 형성
- 경하면 흡수되지만 심하면 석회화와 섬유화 초래
3. 진단검사
- 혈액검사
: 혈액 중 췌장소화효소의 농도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검사
1) 아밀라아제(amylase)
혈청 아밀라아제 농도가 정상치의 3배 이상 증가하고 특징적인 복통이 있는 경우
2) 리파아제(lipase)
급성 췌장염의 진단에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아밀라제보다 높음
- 영상진단검사
: 췌장 상태와 합병증 동반 여부, 원인 규명과 감별 진단을 위해 시행
참고 자료
조경순 외 9명,「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6)
양선희 외 9명,「기본간호학 1,2」, 현문사(2016)
권소희 외 7명,「건강사정」, 수문사(2017)
Meg Gulanick, Judith L. Myers,「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5)
대한민국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의학연구정보센터 http://www.medri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