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백남운의 생애에 대한 정리
목차
없음
본문내용
백남운은 1894년 2월 11일 전북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 반암마을에서 수원 백씨 문경공파(文敬公派)의 시조 백인걸(白仁傑)의 11대손인 수당(遂堂) 백낙규(白樂奎)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백남운의 가(家)는 사림(士林)이자 주자학자의 가풍을 가지고 있었다. 백낙규는 주자학적 세계관에서나마 식민지화 되는 조선의 현실에 대해 고뇌하였다. 이러한 백낙규의 가르침을 받은 백남운은 유년기 교육환경의 영향으로 극히 절제된 성격과 행동양식을 갖게 되었다. 또한 이때의 한문 수업이 이후 경제사 연구에 밑거름이 되었으며, 부친으로부터 봉건적이긴 하지만 민족적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과 배일의식을 체득하였다.
백남운은 혼인 후 일제의 식민지배체제 재편 작업이 한창이었던 1912년 4월 조선총독부 부설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이 관할하는 수원농림학교(水原農林學校)에 진학하였다. 이곳에서의 생활은 그의 의식세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자료
· 방기중, 「기획논문 백남운 연구Ⅰ- 일제하 사상형성 과정과 연구활동에 대한 조사」
·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