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원인
만성 신부전은 회복이 가능한 급성신부전과는 달리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신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를 말한다. 반복되는 감염과 신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오랜 기간의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 파괴 등이 신 기능을 서서히 저하시켜서 발병이 된다. 신기능의 15% 정도 감소된 경우 말기 신부전이라 하는데 원인으로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 있다.
2. 병태생리
만성 신부전은 콩팥단위가 파괴되어 기능이 소실됨으로써 사구체여과율(GFR)과 청소율이 감소하여 혈액 내 요소질소(BUN)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한다. 콩팥단위는 비대해지고 요 농축 능력이 감소하여 다량의 희석된 요를 배출시키므로 체액이 부족해진다. 요세관의 전해질 재흡수능력이 점차 상실되면 요에 다량의 염분이 섞여 배설되면서 다뇨가 악화된다. 신장 손상이 더 악화되고 콩팥단위의 수가 더 감소하면서 사구체 여과율은 떨어지고 수분, 염분, 노폐물을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