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의 진화
최홍규, 김유정, 김정환, 심홍진, 주성희, 최믿음 저. 한울아카데미. 2018년 4월 20일 발행
서평입니다
목차
1. 융합
2. 콘텐츠
3. 보완
본문내용
방송은 널리 보낸다(broad + casting)는 뜻이다. 협송(narrow + castaing)이란 말이 있길래 그게 현실화되겠나 했다. 유튜브가 협송을 현실화 했다. 일종의 커뮤니티 방송이다. 이 책을 보니, 점송이란 것도 있다. 포인트 캐스팅이다. 한국에도 몇 번 왔던 앨빈 토플러 박사가 프로슈머란 이야기를 했다. 컨슈머가 프로듀서가 될 거라는 이야기였는데, 방송도 그렇게 되었다. 지금은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과 사용하는 사람을 분리하기 어렵게 되었다.
7쪽이다.
<송신자와 수신자로 명확히 분리되어 각각 제작, 유통 전송이나 시청 이용 소비를 전담했던 예전과 달리 모든 참여자가 변수가 되는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자원이 되어 다양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에 활용되고 가치를 창출한다>
미디어가 디지털로 융합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도 융합되었다. 이 책은 방송의 콘텐츠, 진화, 성과측정, 수익 모델 등을 이야기했다. 이 중 핵심은 콘텐츠다. 광고료 기반은 힘을 잃을 것이다. 구글, 네이버 등의 검생엔진에게 광고료를 다 뺏기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