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시세계
- 최초 등록일
- 2019.07.28
- 최종 저작일
- 2010.0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서론 - 시대 개관
2. 본론 - 학자 다산, 작가 다산, 인간 다산
1) 정약용의 생애
2) 정약용의 사상
3) 정약용의 문학관
4) 정약용의 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 시대 개관
일반적으로 문학사에서는 영조가 왕위에 오른 시점부터 근대 한문학이 단절된 시기까지를 조선조 후기로 명명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매우 혼란스러웠던 조선은 영정조 연간에 들어 잠시 안정되는 듯 했으나 그 이후로는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토지에 대한 국가 지배력 역시 약해져 국가의 재정기반이 흔들렸고, 이와 같은 정치적․경제적 혼란 속에서 ‘서학(西學)’이라 칭해지는 새로운 학문이 유입되기 시작했다.
사회는 혼란스러웠지만 이 시기 학문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며, 문학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이전의 시풍은 송풍과 당풍이 압도적이었으나 이 시기에 들어 시풍이 매우 다양해졌고, 위항문인이 본격적으로 문단에 등장함으로써 향유 계층 및 작자층의 폭이 확대되면서 한시의 수준은 한 단계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사상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던 ‘새로운 문학’을 추구하던 여러 작자들이 이 시기에 많이 등장했지만, 그 중에서도 다산 정약용은 여러 부분에서 주목할 점이 많은 작가이다. 유학에 대한 해박한 이해를 기반으로 ‘실학’이라는 실천적인 유교 이념을 주장하던 다산은 ‘학자’의 자세를 견지하며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그의 학구적 관심을 표현하고 고민의 결과를 글로 남겼다. 그는 학자로서의 이러한 관심을 시작(詩作)에서도 포기하지 않았으며 총 2500여수에 이르는 많은 시를 남기기도 했다. 특히나 그의 문학은 그가 가진 ‘주체성’과 연관하여 일정 성취를 이루고 있는 바, 다산의 문학을 살펴봄을 통해 다산의 사상의 일면을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그의 문학 속에 그것들이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 학자 다산, 작가 다산, 인간 다산
1) 정약용의 생애
정약용은 1762(영조 38)에 진주목사(晋州牧使)를 역임했던 정재원(丁載遠)과 해남윤씨 사이에서 4남 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여유당(與猶堂)·채산(菜山). 근기(近畿) 등이다.
참고 자료
정약용, 최지녀 역 『다산의 풍경 : 정약용 시 선집』, 돌베개, 2008
민병수, 『한국한시사』, 태학사, 2002
차용주, 『개고 한국한문학사』, 아세아문화사, 2010
심경호, 『한시의 세계』, 문학동네, 2006
정민, 『한시미학산책』, 휴머니스트, 2010
정찬용 「다산 정약용의 한시 연구 : 조선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박호중 「정약용의 가족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논문, 2010
윤재환 「다산 사회시의 성격 변화 검토」, 한민족어문학 제50호 ,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