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케이스, 급성인두편도염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개 A+
- 최초 등록일
- 2019.07.27
- 최종 저작일
- 2018.10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 케이스, 급성인두편도염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개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과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의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으로입과 코를 통해 들어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등의 외부 물질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세균침범은 흔히 편도 자체의 감염도 유발한다. 편도선 염증에 의한 부종으로 편도선, 구개 비대로 공기나 음식물의 통과를 방해한다. 편도는 인두편도, 구개편도, 설편도로 구분하며, 구강인두 양쪽에 있는 임파조직 덩어리이다. 주로 하는 일은 목을 통해 들어오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을 걸러주고 감염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일이다. 급성 인두 편도염은 편도염(tonsillitis)과 인두 편도염
(pharyngotonsillitis)을 포함한 인두의 감염 질환으로 편도선염이나 인두 편도선염을 포함하는 급성 염증을 의미한다. 인두의 침범은 거의 모든 상기도 감염에 수반되며 각종 급성 전신감염에서도 동반된다.
2. 원인
편도염의 대부분이 인두염과 함께 발생한다. 풍부한 림프조직과 빈번한 상기도감염 때문에 편도염은 어린아동에게서 흔히 발생되며, 원인병원체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하고, adenovirus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그 다음으로 enterovirus, parainfluenza virus, influenza virus, herpes simplex virus, rhinovirus, echovirus 등이 원인이 된다. 세균으로는 A군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원인균이 될 수 있다.
3. 병태생리
호흡기는 그 입구가 잘 발달된 림프조직(Waldeyer ring)으로 둘러싸여 있다. 구강과 비강 입구에 구개 편도(palatine tonsil)가 있는데, 구강 검사를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Marilyn J. Hockenberry 외 공저.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p. 213~ 215
Woori Medical Books/ EduCase팀. 핵심임상간호매뉴얼. 둘째판. Woori Medical Books; 2016. P. 604~ 606
권원경 외 공저.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상권). 여섯째 판. 현문사; 2016. p.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