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자료 수집
1. Physical Data
2. Emotional Data
3. Socioeconomic Data
4. Laboratory Data
5. Proceeding Note
Ⅴ. 간호과정
Ⅵ. 약물(Oral, parenteral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본문내용
2. 주호소(Chief Complaint, CC)
• cough(기침), vomiting(구토), anorexia(식욕부진)
3. 현병력(Present Illness, PI)
1) 발병일자 : 2018.05.03
2) 발병양식 :
상기 12개월 여아 특이 과거력 없는 환아로 내원 1주일 전(2018.05.03) 기침, 가래 증상 시작되었으며, 내원 3일 전 개인 병원 진료 후 기관지염, 장염, 중이염 진단 받고 항생제, 스테로이드제 포함 경구약 처방받아 복용하였던 환아로 중이염은 호전되었으나 내원 전일 촬영한 X-ray 상 폐렴소견 보여 입원권유(ㅇㅇ병원) 받았으나 병실 부족하여 본원 외래 통해 입원함.
-환아 평소에 변비 심하여 듀파락 1개월 가량 복용하였던 환아로 아침, 저녁으로 7cc 가량 복용 시 변비 기운 있어 10cc 가량으로 늘렸더니 설사 심하게 하였다고 하여, 최근 5cc 가량으로 감량한 후 2일 이상 변을 보지 못하였다고 함.
-식이저하/소변량 감소 (+. 전혀 먹지 못함 /-)
-발열 (-), 입원 전 발열 없었음
-general condition 양호
< 중 략 >
Ⅲ. 질병 기술(Discription of Disease)
Acute bronchiolitis(급성 모세기관지염)
1.정의
• 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 호흡기계 질환으로 작은 기도의 염증 폐쇄로 인하여 발생.
• 기관지의 구조적 약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돌 전후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
• 겨울과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 산재성 또는 유행성으로 발생
2.원인과 역학
• 모세 기관지염은 기관지 중 가장 작은 가지인 세기관지에 감염에 의해서 생긴 질환으로 최근에는 세기관지염이라고 함
• 호흡기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이 침범하기 쉽고, 미세먼지, 담배 연기, 꽃가루 등 수많은 물질에 의해 염증이 발생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